“묻지마 폭력은 사회 연결고리 와해 방증… 한국도 공동체화합 도모 시민운동 필요”

“묻지마 폭력은 사회 연결고리 와해 방증… 한국도 공동체화합 도모 시민운동 필요”

입력 2014-02-17 00:00
수정 2014-02-17 04: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휴먼라이브러리’ 창립 시민운동가 로니 에버겔 인터뷰

“묻지마 폭력은 사회 구성원 간 연결고리가 그만큼 와해됐다는 것을 방증합니다. 갈수록 종교·인종 등이 다원화되고 있는 한국도 공동체 화합을 도모하는 시민운동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확대
로니 에버겔
로니 에버겔
국회도서관과 희망제작소의 초대로 방한한 덴마크 시민 운동가 로니 에버겔(41)은 지난 15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이 2000년 최초로 고안한 ‘휴먼라이브러리’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일로에 있는 ‘묻지마 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에버겔은 21년 전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서 파티를 가던 자신의 친구가 칼에 찔려 숨진 뒤 ‘스톱 더 바이올런스’라는 비폭력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사소한 싸움에 휘말린 친구가 왜 그렇게 무참히 죽어야 했는지, 극단적인 범죄를 막으려면 사회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고민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2000년 에버겔은 친구 4명과 함께 ‘휴먼라이브러리’를 고안했다. 말 그대로 ‘휴먼북’(사람책)을 빌려 볼 수 있는 도서관이다. 일상에서 만나기 어려운 종교, 성적 취향, 인종, 직업 등을 가진 휴먼북을 접하면서 편견과 선입견을 무너뜨리자는 취지다. 에버겔은 “휴먼라이브러리가 동성애자, 무슬림, 이민자 집단 등 사회적 소수자들과 기존 지역 사회 시민들이 서로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을 무너뜨려 ‘인간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 통합에도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덴마크는 일찍부터 이민자 유입이 시작됐지만, 사회통합이 이뤄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코펜하겐의 인구 54만여명 가운데 22%가 이민자로 구성돼 있다. 에버겔은 “현재 국민 32명 중 1명(2.8%)이 외국인인 한국도 2020년에는 외국인 비율이 5%, 2050년에는 9%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코펜하겐의 경험을 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지식 콘서트 ‘테드’(TED)에 출연하는 등 세계 곳곳을 누벼온 에버겔의 활동으로 휴먼라이브러리는 70개 국가로 퍼졌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4-02-17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