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나기하라, 69주기 맞아 ‘릿쿄의 모임’ 7년째 주관
“육첩방은 남의 나라/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윤동주(작은 사진) 시인의 69주기인 16일 일본 도쿄 릿쿄대학 교회에서 윤동주 시인의 사진이 놓인 가운데 ‘시인 윤동주와 함께 2014’ 행사가 열리고 있다. 일본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이 모임은 2008년 시작해 올해로 7회째를 맞고 있다.


윤동주 시인
시인은 25세이던 1942년 일본으로 건너가 릿쿄대학과 도시샤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했다. 일본에서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1943년 7월 체포돼 2년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건강이 악화되면서 1945년 2월 28세의 젊은 나이로 유명을 달리하고 만다.
릿쿄대학 출신으로 윤동주 시인의 사연에 감동을 받은 야나기하라 야스코를 주축으로 모임을 만들어 2008년부터 매년 윤동주 시인의 기일에 맞춰 추모 행사를 열고 있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행사는 매년 200~300명이 찾을 정도로 열기가 뜨겁다.
이날 행사에서는 ‘아우의 인상화’, ‘햇빛·바람’, ‘자화상’, ‘사랑의 전당’, ‘쉽게 씌어진 시’, ‘서시’ 등 5편의 시를 한국어와 일본어로 각각 낭독했다. 또 일본·조선(한국) 근대사 전문가인 미즈노 나오키 교토대 교수가 “역사연구자가 본 윤동주”라는 주제로 윤동주 시인의 창씨개명 여부와 독립운동 당시의 상황 등에 대해 강연을 했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야나기하라는 “약 20년 전 윤동주 시인이 겪은 일을 알게 되면서 매우 가슴이 아팠다. 그가 일본에서 어떤 생활을 했는지, 도쿄에서 집필한 미작성 원고는 없는지 조사를 하고 윤동주 시인에 대해 많은 일본인에게 알리고 싶어서 이 행사를 치러 왔다”고 설명했다. 또 야나기하라는 “윤동주 시인이 겪은 아픔과 그의 시가 일본인들에게도 심금을 울리게 하는 면이 있다”면서 “나 같은 전후 세대는 과거의 진실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윤동주 시인이 겪은 일을 비롯해 과거의 진실을 명확히 하는 것이 한국인들에게도 제대로 인정을 받고, 양국 관계도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 사진 도쿄 김민희 특파원
haru@seoul.co.kr
2014-02-1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