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하루 17만t 지하수 유출…지반침하 우려

서울시내 하루 17만t 지하수 유출…지반침하 우려

입력 2014-02-19 00:00
수정 2014-02-19 07: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하철 등 공사로 수위 저하…10년째 대책 미비”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서울 시내에서 하루 약 17만t의 지하수가 유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 유출은 자연적인 현상이기도 하지만 공사 등으로 인해 지하 담수 공간이 훼손된 탓도 있어 자칫 지반침하 또는 붕괴 등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위례시민연대가 서울시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행정구역상 서울 시내 지하에서 유출된 지하수는 모두 6천518만8천t에 달했다. 하루 평균 17만8천t이 유출된 것이다.

지하철 분당선 서울숲역이 하루 9천927t으로 가장 많았고 분당선 대모산역(7천176t), 9호선 구반포역(6천606t) 순이었다.

6호선 고려대역(3천600t), 5호선 양평역(3천506t), 7호선 노원역(3천234t), 3·7·9호선 고속버스터미널역(3천131t), 5호선 장한평역(2천979t), 공항철도 강서구 과해동 구간(2천681t), 7호선 대림역(2천857t)도 많은 축에 속했다.

이득형 위례시민연대 대표는 “무분별한 지하공사로 지하수가 유출되고 있으며 수위가 낮아지면 그 공간이 점점 커져 결국 지반침하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10년 전에도 이런 문제가 제기됐으나 서울시 물관리정책과에서 주기적으로 지하수 수위 변화를 측정하는 것 외에 서울시와 중앙정부의 다른 대책은 없다. 특히 서울시가 경전철 10개 노선 건설 계획을 밝히고 대규모 지하공사를 할 예정이어서 지하수 유출 규모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측정 결과, 2004년 한 해 서울시내 지하수 유출량은 하루 약 14만t이었으나 10년 새 지하철역 수가 급증하면서 지난해엔 17만8천t으로 늘었다.

반면 2004년 기준으로 하루 유출량이 많았던 양평역(8천251t), 고려대역(5천904t), 장한평역(4천983t), 노원역(4천939t), 마포역(4천824t), 천호역(3천988t), 영등포시장역(3천946t)은 현재 그 방출량이 현격히 줄어 해당 지역의 땅밑 담수공간 수위가 현격히 낮아진 게 분명해 보인다는 게 위례시민연대의 설명이다.

이 대표는 “지하수가 유출돼 생기는 공간이 지면 압력을 이기지 못하면 싱크홀이 돼 사고로 이어진다”며 “10년 전에도 이 문제가 지적됐지만 행정당국은 지하수 유출이 자연적이며 감시하고 있다는 답만 반복해왔다”고 지적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3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제60회 정기총회에 참석했다. 이날 김 의원은 요식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총회에는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송주범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문성호 서울시의원을 비롯한 다수의 구의원이 참석했다. 또한 시장, 구청장, 서울시의회 의장, 구의회 의장 표창 등 공로상 수여식이 진행됐으며,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의장상을 대리 수여했다. 김 의원은 “서대문구 남·북가좌동은 베드타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토리가 있는 일상 보행권의 부활을 통해 골목 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라며 “홍제천, 불광천, 포켓 공원, 남이동길, 거북골길, 해담는 다리 등 이야깃거리가 있는 골목 경제가 살아나야 서민 경제가 살아나고, 서민 경제가 살아나야 비로소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신용보증재단을 소관 기관으로 두고 있는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위원으로서 함께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