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 日교수 독도 홈피 오픈 ‘日정부 논리 반박’

귀화 日교수 독도 홈피 오픈 ‘日정부 논리 반박’

입력 2014-02-24 10:30
수정 2014-02-24 1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사카 유지 “역사 은폐·왜곡 실태 고발”

귀화한 일본인 교수가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일본 정부의 논리를 조목조목 반박하는 내용을 담은 공식 홈페이지를 열었다.


24일 세종대 독도종합연구소에 따르면 이 연구소 호사카 유지(保坂祐二) 소장은 독도와 한일 관계에 관한 정보를 담은 홈페이지 ‘독도와 동아시아’(www.dokdoandeastasia.com)를 이날 일반에 공개한다.

홈페이지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자료는 ‘태정관 지령문’이다.

태정관 지령문은 1877년 일본 메이지(明治) 정부가 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는 영토, 즉 조선의 영토라고 공식 인정한 문서다.

메이지 정부 최고 권력기관이자 의사결정 기관이었던 태정관은 당시 ‘죽도(竹島·울릉도)와 그밖에 있는 한 섬(독도)의 건은 본방(일본)과 관계가 없음을 명심할 것’이라는 공문을 내무성에 내려보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2005년 시마네현이 ‘다케시마의 날’을 정하면서 독도 문제가 한일 간 외교 문제로 비화하자 이 문서의 원본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도쿄 다케바시(竹橋)에 있는 국립공문서관은 태정관 지령문의 원본 대신 필사본을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고 호사카 소장은 전했다.

20페이지 가량인 원본은 정자체의 한문으로 씌어 있다.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거리를 표기한 ‘기죽도약도’(磯竹島略圖)도 첨부돼 있다.

반면 필사본에는 울릉도와 독도를 표기한 기죽도약도가 누락돼 있고, 한자·가타가나·히라가나가 뒤섞인 초서체로 씌어 있어 일반인은 내용을 읽을 수가 없다.

홈페이지에는 야스쿠니 신사참배, 일본군 위안부, 일본 내 북한 이슈 등과 함께 일본 정부에 보내는 항의 성명도 정리돼 있다.

홈페이지에 무료로 회원 가입하면 이런 내용을 포함한 동영상과 PDF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다.

홈페이지는 한·영·일 3개 국어로 번역돼 있다.

호사카 소장은 “특히 일본인들이 읽을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며 “일본 정부나 정당, 기타 주요 기관이나 단체에 뉴스레터도 보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