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지 않는 떡 개발… 수출 길 열었어요”

“굳지 않는 떡 개발… 수출 길 열었어요”

입력 2014-05-16 00:00
수정 2014-05-16 04: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진청 한귀정 박사 옥조훈장 화학 첨가물 전혀 사용 안 해

“굳지 않는 떡을 개발해 쌀 소비도 늘리고, 우리 떡을 세계로 수출해 2017년까지 1조 3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미지 확대
한귀정 박사
한귀정 박사
농촌진흥청은 세계 최초로 굳지 않는 떡을 개발한 한귀정(49) 박사가 16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리는 제49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옥조근정훈장을 받을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가공이용과에 근무하는 한 박사는 2010년 2월 굳지 않는 떡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특허를 받았고, 지금까지 290여개 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

대표적 전통식품인 떡은 만든 지 하루만 지나도 굳어서 남은 떡을 다 버려야 했고, 외국에 수출할 수도 없었다. 경쟁 식품인 빵은 만든 이후 2~3일 동안 팔 수 있어 떡의 경쟁력이 떨어졌다. 한 박사는 “이런 문제 때문에 떡 시장 규모는 1조 4000억원으로 3조 4600억원에 달하는 빵 시장 규모보다 작았다”며 “쌀 소비를 늘리고 떡을 수출하기 위해 굳지 않는 떡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굳지 않는 떡에는 화학적 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아 먹어도 건강에 해가 없고, 빵에 더 친숙한 아이들이 떡을 맛있고 재미있게 먹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식품영양학을 전공한 한 박사는 1987년 농진청에 입사해 전통식품 품질향상 연구에 전념해 왔다. 2008년에는 김치를 토마토케첩과 같은 기호식품으로 바꾼 ‘김치 소스’도 개발했다. 한 박사는 “서로 달라붙지 않는 먹기 편한 떡과 가정용 제빵기처럼 집에서도 손쉽게 떡을 만들 수 있는 기계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5-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