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한귀정 박사 옥조훈장 화학 첨가물 전혀 사용 안 해
“굳지 않는 떡을 개발해 쌀 소비도 늘리고, 우리 떡을 세계로 수출해 2017년까지 1조 300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한귀정 박사
대표적 전통식품인 떡은 만든 지 하루만 지나도 굳어서 남은 떡을 다 버려야 했고, 외국에 수출할 수도 없었다. 경쟁 식품인 빵은 만든 이후 2~3일 동안 팔 수 있어 떡의 경쟁력이 떨어졌다. 한 박사는 “이런 문제 때문에 떡 시장 규모는 1조 4000억원으로 3조 4600억원에 달하는 빵 시장 규모보다 작았다”며 “쌀 소비를 늘리고 떡을 수출하기 위해 굳지 않는 떡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굳지 않는 떡에는 화학적 첨가물이 전혀 들어가지 않아 먹어도 건강에 해가 없고, 빵에 더 친숙한 아이들이 떡을 맛있고 재미있게 먹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식품영양학을 전공한 한 박사는 1987년 농진청에 입사해 전통식품 품질향상 연구에 전념해 왔다. 2008년에는 김치를 토마토케첩과 같은 기호식품으로 바꾼 ‘김치 소스’도 개발했다. 한 박사는 “서로 달라붙지 않는 먹기 편한 떡과 가정용 제빵기처럼 집에서도 손쉽게 떡을 만들 수 있는 기계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5-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