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고 특례입학보다 진상 규명이 먼저” 세월호 유가족들과 단원고 생존학생들의 외침

“단원고 특례입학보다 진상 규명이 먼저” 세월호 유가족들과 단원고 생존학생들의 외침

입력 2014-07-17 00:00
수정 2014-07-17 16: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단원고 특례입학. 세월호 특별법.
단원고 특례입학. 세월호 특별법. ‘4·16 참사 특별법’ 제정을 위한 국민 350만 1266명의 서명지를 든 희생자 유가족과 시민, 사회단체 회원들이 15일 국회 본청 앞 계단에 앉아 농성을 하고 있다. 2014.7.15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단원고 특례입학’ ‘단원고 생존학생 도보행진’

단원고 특례입학 혜택이 결정됐지만 세월호 유가족은 “진상 규명이 먼저”라고 강조했다.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 유경근 대변인은 15일 오전 SBS 라디오 ‘한수진의 전망대’에서 “지금 진상 규명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배상이나 보상을 받은들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고 안타까워했다.

이러한 입장은 단원고 특례입학 혜택을 받게 될 당사자인 단원고 생존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세월호 참사에서 살아돌아온 단원고 학생들은 국회에서 단식농성을 진행 중인 유가족들에게 편지를 전달했다.

안산 단원고에서 국회까지, 1박2일간 꼬박 40km 도보 행진 끝에 유족들을 만나 전달한 편지다.

16일 세월호 가족대책위원회가 공개한 학생들의 편지 내용을 보면, 생존 학생들은 37통의 편지에서 유가족들에 대한 응원과 죄스러움, 먼저 떠난 친구들에 대한 그리움을 담았다. 유족들의 단식 농성과 국민 350만 명의 서명 운동에도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미루고 있는 여야 정치권에 대한 불신도 고스란히 담겼다.

한 학생은 “저희는 지금 힘든 상황 속에서 지내고 있지만, 더 힘들게 하는 것은 국회”라며 “저희는 특례와 보상 때문에 이러는 것이 아니다. 저희가 원하는 건 억울하게 죽은 친구들의 한을 풀고자 진상 규명을 해달라는 것”이라고 썼다.

학생들은 희생된 친구들의 부모님을 ‘엄마, 아빠’라고 불렀다. 이제 자신들이 ‘아들, 딸’이 되어 드리겠다고 했다.

한 학생은 편지글에서 “항상 저희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드릴게요”라며 “사랑해요 엄마, 아빠”라고 썼다. 다른 학생은 “저희들이 도울 수 있는 일들이 이런 일 밖에 없어서 너무 죄송해요”라며 “저희는 절대 잊지 않을게요. 사랑합니다”라고 썼다.

다른 한 학생은 “항상 고맙게 살겠다”며 “우리의 분노를 표하는 게 이런 것 밖에 없어 죄송하다. 힘내셔야 한다. 같이 있겠다”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이날로 사흘째로 접어든 유족들의 단식 농성을 언급하며 “무리하지 말아 달라”고 건강을 걱정하는 학생도 많았다.

다른 학생은 국회의원들을 향해 “당신들의 자녀 분들이 저 바다에 가라앉아 있다면 지금처럼 행동할 수 있겠습니까”라며 “제발 우리를 잊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다.

그러나 이들의 외침은 국회 앞에서 허무하게 막혀버리고 말았다.

국회 정문 앞에서 생존학생들의 편지를 전달받고 다시 국회로 들어가려던 유가족들을 경찰이 막아섰기 때문이다.

경찰은 세월호 가족들의 정문 통과를 막았고 가족들은 이에 항의하며 바닥에 드러눕는 등 강력히 반발했다.

격앙된 세월호 가족들은 곧바로 국회 본청 앞에 모여 책임자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을 요구하며 경찰과 대치했다.

세월호 가족들은 임병규 국회 사무총장 권한대행과 김한근 의사국장, 김상철 영등포경찰서장, 국회경비대장의 사과를 받은 뒤 물러섰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