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면산 산사태 3주기’ 희생자 추모비 세운다

‘우면산 산사태 3주기’ 희생자 추모비 세운다

입력 2014-07-17 00:00
수정 2014-07-17 07: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희생자 유족, 서울광장서 27일 추모식 개최

서울시가 우면산 산사태 3주기를 맞아 희생자 추모비를 건립하고 추모식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2011년 7월 27일 집중호우와 부실한 풍수해 대책 등이 겹쳐 발생한 우면산 산사태는 16명의 목숨을 단번에 앗아가면서 서울시내 역대 최악의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됐다.

서울연구원은 지난 3월 우면산 산사태는 집중 호우와 약한 지질 등 천재(天災) 요소에 풍수해 대비 부족이라는 인재(人災) 요인이 겹쳐 발생한 것이라는 2차 원인조사 결과를 내놨다.

그러나 유족 측은 천재 요인을 강조한 1차 조사결과와 크게 다를 바 없다며 항의했고, 현재까지도 갈등은 남아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서울시는 27일 오전 11시 30분부터 30분간 유족들이 서울광장에서 3주기 추모식을 열 수 있게 지원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광장에는 세월호 희생자 합동분향소가 운영되는 관계로 유족들은 추모식을 서울광장 중 잔디밭이 없는 부분에서 진행하기로 했다.

박원순 시장은 또 최근 해당 부서에 희생자 추모비를 건립하라고 지시했다.

박 시장은 “추모비 건립 과정에서 공공건축가, 디자이너와 협력해 작지만 상징적인 조형물이 될 수 있게 해달라”며 “추모비 앞면에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글귀를 넣고 뒷면에는 우면산 산사태를 계기로 일어난 일련의 조치들을 기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시는 유족 측에 추모비 건립 장소를 지정해달라고 요청했다.

유족 대표 임방춘씨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1주기 추모식이 열렸던 서초구 방배동 신동아럭스빌 맞은편 우면산 자락에 추모비를 세우는 것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산지방재과 관계자는 “유족들이 건립 위치를 결정해주면 전문가들에게 의뢰해 추모비 디자인 안을 몇 개 만들어 유족들과 다시 협의한 후 바로 건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7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강동구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을 방문, 진행 중인 정비 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가래여울마을은 상수원 보호구역이자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최근 시민들의 이용이 늘어나면서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안전한 이용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작년부터 여러 차례 현장을 찾아 시민 불편 사항을 청취하고 개선책 마련에 힘써왔다. 박 의원은 “가래여울마을 한강변은 강동구의 소중한 자연환경 자산으로, 시민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이용과 생태환경 보전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라며 “최호정 의장님과 함께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자연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점검에는 미래한강본부 관계자들도 함께 참여해, 한강변 접근성 개선과 안전 강화를 위한 현실적인 대책 마련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나눴다. 주민 의견을 중심으로 가래여울 한강변 정비를 위해 힘써온 박 의원은 “강동구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시민들이 안심하고 한강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강동엄마’ 박춘선 서울시의원, 최호정 의장과 함께 가래여울마을 한강변 정비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