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촌지하차도 동공, 시공사 과실로 잠정 결론

석촌지하차도 동공, 시공사 과실로 잠정 결론

입력 2014-08-22 00:00
업데이트 2014-08-22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사단 “품질 관리 실패가 지반침하 직접 원인”

석촌지하차도 아래 지하에서 무더기로 발견된 동공(洞空. 빈 공간)은 터널을 뚫은 시공사의 과실 때문에 발생했다는 잠정적인 결론이 내려졌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조사단이 지난 14일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싱크홀 현장에서 도로 밑에 생긴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의 동공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서울시 조사단이 지난 14일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싱크홀 현장에서 도로 밑에 생긴 폭 5~8m, 깊이 4~5m, 길이 80m의 동공을 둘러보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22일 “지하에서 터널 공사를 진행하던 시공사가 공사 품질 관리에 실패한 것이 동공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서울시가 전문가로 구성한 조사단의 단장을 맡고 있다.

그는 “삼성물산 등 시공사가 실드(Shield) 공법을 채택했으나 시공능력이 부족했다”며 “공사를 하면서 애초에 계획한 양보다 많은 흙을 지상으로 배출한 것이 조사결과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시공사는 석촌지하차도 밑에서 공사를 진행할 때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는지 이미 알고 있었고 비상 매뉴얼도 만들었는데도 공사 관리에 실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하철 9호선 3단계 공사는 ‘턴키’(일괄 발주) 방식으로 진행됐다. 해당 구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시공사가 책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길이가 490m인 석촌지하차도 밑에서는 8월 한 달간 7개의 동공이 발견됐고, 이들 동공의 연장 길이를 합치면 135m에 달한다.

동공의 7∼8m 아래에서는 삼성물산 등 3개 시공사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실드 공법으로 터널을 뚫어왔다.

실드 공법은 공업용 다이아몬드 수십 개가 박힌 원통형 기계를 회전시켜 흙과 바위를 부수면서 수평으로 굴을 파고들어가는 방식이다.

이때 갈린 흙은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기계 뒤로 나온 뒤 지상으로 배출된다.

조사단은 시공사가 예상 배출량보다 더 많은 흙이 실드 기계 안으로 들어왔는데도 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공사를 계속 진행, 동공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계 부품 교체 시 지하수 침투와 지반 침하를 막기 위해 특수 용액으로 터널 표면을 단단하게 만드는 ‘그라우팅’ 작업이 진행되는데, 이 공사가 불완전했고 이 때문에 압력에 취약한 천장 부분에서 흙이 쏟아져 들어왔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7개 동공 중 연장이 80m에 이르는 동공 아래에서는 그라우팅과 부품 교체를 위해 쉴드 기계가 작년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약 4개월간 멈춰 있었다.

삼성물산은 이에 대해 “동공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상한 징후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 회사는 실드 기계에서 빠져나간 흙의 양을 기록할 때 컨베이어 벨트 위로 이동하는 흙을 스캔(scan)하는 방식으로 양을 계산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사단의 최종 결론은 내주 초 발표된다. 서울시는 같은 날 석촌지하차도 복구 방안 등 종합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