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판받는 세월호 선원들 막말
세월호 기관부의 한 선원이 탈출이 더 쉽도록 배가 침몰하기를 기다렸다는 진술이 나왔다. 기관부 승무원들이 당시 대피 위치와 해수면의 차이가 줄어들기를 바라고 배가 더 침몰하기를 기다렸다는 데 대해 엇갈린 진술을 하고 있다.세월호 3등 기관사 이모(25·여)씨는 3일 광주지법 형사 11부(부장 임정엽) 심리로 진행된 피고인 신문에서 기관부 승무원들이 세월호 3층 복도에서 대기하며 물이 차오르는 정도를 점검한 이유를 검사가 묻자 “배가 기우는지 그만 기우는지 보기 위해서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월호의 한 조기수는 수사기관에서 “배가 더 침몰하면 탈출하기 쉽다. 수면에서 3층 갑판까지 높이는 보통 3층 건물보다 더 높아 바다로 뛰어내리면 충격으로 다치거나 물이 차가워 심장마비가 올 수 있다”고 진술했다. 좌현 쪽에 있던 승무원들이 배가 더 기울어 수면으로 뛰어들기 쉬워질 때까지 기다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씨는 “조기수는 뒤쪽으로 떨어져 있었다”며 “추측으로 진술한 것으로 보인다”고 반박했다. 이씨는 기관장과 1등 기관사가 캔맥주를 마신 것과 관련해서도 “1등 기관사가 기관장에게 ‘안 될 것 같다’고 이야기하니 기관장도 ‘나도 불안해서 승무원들을 안심시켰는데 이제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며 “당시에는 마지막이라고 생각해 다들 포기했구나 싶어 기관장의 말을 듣고 울었다”고 증언했다. 한편 이날 신문에서 조기수 이모(56)씨는 “당시 선내방송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느냐”는 검사의 질문에 “머리가 돌아가는 사람은 나오고…”라고 말해 유가족과 방청객들의 심한 질타를 받았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4-09-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