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길가 은행열매 잔류농약 불검출”

서울시 “길가 은행열매 잔류농약 불검출”

입력 2014-11-26 00:00
수정 2014-11-26 07: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은 도로변 은행 등 유실수 열매 80건을 조사한 결과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26일 밝혔다.

연구원은 지난 9월부터 이달까지 한남로, 어린이공원 등 시내 80개 지점에서 은행 75개, 감 4개, 모과 1개를 채취해 조사했다.

은행 75건을 조사한 결과 납 수치는 최고 0.146ppm, 카드뮴은 0.009ppm으로 나타나 기준치(납 5ppm 이하, 카드뮴 0.3ppm 이하)보다 훨씬 낮았다. 잔류농약은 아예 검출되지 않았다.

감과 모과는 중금속과 잔류농약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서울시는 “다만 은행 열매에는 시안배당체와 함께 메칠피리독신이란 독성물질이 함유돼 반드시 익혀서 먹어야 한다”며 “어른은 하루 10알 미만, 어린이는 2∼3알 이내로 섭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박석 서울시의원, 방학신동아1단지 재건축 주민설명회 참석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지난 9일 도봉구청에서 열린 방학신동아1단지아파트 재건축사업 정비계획수립 관련 주민설명회에 참석했다. 1990년에 준공한 도봉구 방학신동아1단지아파트는 30개동 3169세대의 대규모 단지로, 2023년 재건축 안전진단 통과 후 정비계획 입안 제안 및 신속통합기획 자문을 거쳐 주민 공람을 진행 중이다. 공람 중인 정비계획(안)에 대한 설명과 질의응답이 이어진 설명회에는 주민 800여명이 참석해 재건축 추진에 대한 열의를 드러냈다. 박 의원은 “‘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 따른 정비사업 사업성 개선방안(사업성 보정계수)이 적용되면서 허용용적률이 250%로 완화되었고 기부채납 등을 통해 법적상한용적률(300%)에 근접한 용적률 299.97%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형 키즈카페 등 주민 선호 고려한 공공개방시설 설치, 발바닥공원을 구역에 포함하여 공원녹지 의무면적 부담 최소화 등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에 기여하면서 사업성을 증진하는 요소가 정비계획(안) 곳곳에 담겼다”며 “주민분들이 만족할 수 있는 정비계획(안)이 확정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박 의원은 “정비계획안 마련을 위해 힘써주신 신동아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방학신동아1단지 재건축 주민설명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