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긴급 상담신고는 110 통합…체감변화 크지 않을 듯
세월호 참사로 미국의 911과 같은 단일 긴급신고전화 필요성이 대두됐지만 정부가 검토 끝에 112와 119 양대 번호 체계를 사실상 유지키로 결정했다.국민안전처는 현행 20개 신고전화를 내년부터 112, 119, 110으로 통합한다고 27일 밝혔다 .
긴급한 범죄신고 번호는 종류와 무관하게 112로, 재난·구조 신고 번호는 119로 운영되며,·비긴급 신고·상담은 110으로 통합된다.
안전처는 작년 9월부터 연구용역,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이 같은 ‘긴급신고전화 통합방안’을 마련했으며, 이날 제16차 안전정책조정회의에서 확정했다.
통합방안에 따르면 범죄 112, 미아 182, 범죄 검찰신고 1301, 불량식품 1399, 학교폭력 117, 여성폭력 1366, 청소년상담 1388, 노인학대 1577-1389, 자살·정신건강 1577-0199, 군내 위기·범죄(국방헬프콜) 1303, 밀수 125 등 범죄분야 긴급 신고번호는 112로 통합된다.
재난·구조·구급 119, 해양사건·사고 122, 재난 1588-3650, 환경오염 128, 가스 1544-4500, 전기 123·1588-7500, 수도 121 등 재난 분야 긴급상황은 119 하나로 모두 신고할 수 있다.
범죄와 재난 분야에서 긴급하지 않은 민원·상담 신고전화는 110 하나로 통합된다.
내년부터 신고전화 통합이 시행되더라도 기존 번호를 계속 이용할 수 있다.
그간 각종 신고전화가 다양하게 신설됐지만 112와 119 등을 제외하고는 국민의 인지도가 10% 미만으로 낮아 혼란을 초래하고 신고접수도 지연된다는 지적이 계속됐다.
1건당 220원인 114에서 안내한 긴급신고전화 번호는 작년 한 해만 170만 건에 이른다.
특히 작년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고(故) 최덕하군의 최초신고를 비롯한 승객 신고는 119로 몰렸고, 119로부터 전화를 연결받은 당시 해양경찰 122 접수요원은 일반 승객의 신고를 제대로 응대하지 못하는 등 허점을 드러내 긴급전화 통합 요구가 거셌다.
정부는 6개월간 논의를 거쳐 신고전화 통합방안을 내놨지만 미국의 911, 영국의 999 같은 단일번호 체계로 개편은 하지 않기로 했다.
작년 공청회 때까지만 하더라도 112와 119 중 한 번호로 통합하거나 제3의 단일번호를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됐으나 부처 협의를 거치면서 두 번호를 존치하는 걸로 결론이 났다.
90% 이상 국민이 112와 119 외 대부분 번호를 모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실상 양대 신고번호 체계가 큰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것이다.
안전처는 “112와 119 중 한 번호를 없애면 국민불편이 되레 커지고, 소관 기관으로 연결할 때 20초 이상이 추가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대형사고로 통화량이 폭주할 때 대응이 더 어려워진다”고 단일번호로 통합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안전처는 112와 119를 통합하지는 않았지만 두 시스템을 연계, 신고내용이 실시간에 가깝게 공유되도록 해 신고자가 잘못된 번호로 전화를 걸었을 경우라도 신고접수가 지연되지 않도록 개선할 방침이다.
안전처는 긴급신고전화 통합작업에 총 550억원이 들 것으로 내다봤다.
박인용 안전처 장관은 “안전을 바라는 국민적 염원을 담아 철저한 현장조사와 준비로 통합작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