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수사·재판일지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수사·재판일지

입력 2015-02-06 13:22
수정 2015-02-06 13: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2.10.8 =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 당시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을 했다”고 발언 ▲2013.6.17 = 민주당 박영선 의원, “대선 당시 제기된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발언 논란은 국가정보원과 새누리당이 짠 시나리오에 의한 것”이라는 취지로 발언 ▲6.20 =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취지 발언을 국가정보원에서 직접 확인했다고 발언. 여당이 발췌록 단독열람한 사실 확인되자 민주당 등 야당 반발 ▲6.21 = 민주당 문재인 의원,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과 녹음테이프 등 녹취자료 공개를 제의 ▲6.24 = 국정원, 국회 정보위원회에 정상회담 회의록 전문 및 발췌록 공개 = 노 전 대통령 측 “발췌본이 대화록과 100% 일치하지는 않는다” 주장 ▲6.26 = 민주당, 19대 대선 전 새누리당이 회의록 입수했다는 의혹 제기 ▲7. 2 = 국회, 본회의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 회의록과 녹음기록물 등 자료 일체의 열람·공개를 국가기록원에 요구하는 자료제출요구안 의결 ▲7.15 = 여야 열람위원 10명, 경기도 성남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NLL(엔엘엘)’, ‘북방한계선’, ‘남북정상회담’, ‘등거리·등면적’, ‘군사경계선’, ‘남북국방장관회담’, ‘장성급회담’ 등 7개 검색어로 회의록 검색 시작 ▲7.17 = 여야, 회의록 2차 열람 실시했지만 검색 실패. 국가기록원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모른다”고 밝힘. ▲7.22 = 여야 열람위원단, 국가기록원에 회의록 원본 없다고 최종 결론 ▲7.25 = 새누리당, ‘대화록 은닉과 폐기·삭제·절취’ 의혹에 대해 문재인 의원 등 참여정부 관련자 서울중앙지검에 고발. = 검찰, 사건을 중앙지검 공안2부(김광수 부장검사)에 배당 ▲7.26 = 검찰, 김만복 전 국정원장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등 관련자 출국금지 ▲7.28 = 검찰, 경기도 성남 대통령기록관 현장답사 ▲8.13 = 검찰, 서울고법·서울중앙지법에 대통령기록관 기록물 열람을 위한 압수수색 영장 청구. 법원, 영장 발부 ▲8.17 = 검찰,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착수. 검사 6명·디지털 포렌식 요원 12명·수사관·실무관 등 총 28명 및 디지털 자료 분석용 특수차량 투입 ▲10. 2 = 검찰, 참여정부의 대통령기록관 이관기록에 회의록 없다고 결론. ‘봉하 이지원’에서 삭제본 1부 복원하고 별도의 회의록 1부 발견했다고 밝힘 ▲10. 5 = 검찰, 조명균 전 참여정부 안보정책비서관 조사 ▲10.10 = 검찰, 백종천 전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조사 ▲11. 6 = 검찰, 문재인 민주당 의원 참고인으로 조사 ▲11.14 = 검찰, 91일만에 대통령기록관 압수수색 종료 ▲11.15 = 검찰, 수사결과 발표. 백종천 전 청와대 외교안보실장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 2명을 대통령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위반 및 공용전자기록등손상 혐의로 불구속 기소. 문재인 의원 불기소 ▲12.09 = 법원, 백종천 전 실장 등 첫 공판 ▲2014.12.08 = 검찰, 백 전 실장 등이 노무현 전 대통령 지시로 회의록 초본 삭제했다는 내용의 범행 동기 추가해 공소장 변경. 법원, 공소장 변경 허가 ▲2015.1.19 = 검찰, 백 전 실장과 조 전 비서관에 징역 2년 구형 ▲2.6 = 법원, 백 전 실장·조 전 비서관에 무죄 선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