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화학공학과 석사과정 졸업 최승호씨

최승호씨 제공

석사과정을 마친 20대 대학원생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학술지에 게재한 연구논문이 50편이나 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26일 건국대에 따르면 최근 열린 졸업식에서 화학공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한 최승호씨는 SCI급 국제학술지에 논문 50편을 발표한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학술상을 받았다.
최승호씨 제공
최승호씨 제공
26일 건국대에 따르면 최근 열린 졸업식에서 화학공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한 최승호(27)씨는 SCI급 국제학술지에 논문 50편을 발표한 성과를 인정받아 우수학술상을 받았다.
50편의 논문 중 최씨가 주저자로 발표한 논문은 31편, 공저자로 참여한 논문은 19편이다.
주저자로 발표한 논문 중 25편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스몰’(Small), ‘캠서스캠’(ChemSusChem) 등 인용지수(Impact factor·IF) 5 이상의 저널에 게재됐다.
인용지수 5 이상의 저널은 해당 분야에서 상위 10∼15%에 해당하는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최씨의 연구 업적은 유명 대학 전임교수의 성과에 버금갈 정도라고 학교 측은 전했다.
최씨가 주로 연구한 분야는 리튬 이차전지 등 에너지 저장 장치에 적용되는 전극 소재 기술 개발이다. 그는 용량이 높고 오래가는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전자재료의 합성과 응용연구에 흥미를 갖고 연구에 몰두했다.
최씨는 “오래가는 배터리를 개발하려면 높은 용량, 긴 수명 등 우수한 특성이 있는 전극 소재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을 이용한 복합소재를 합성하는 연구를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최씨는 가장 소중히 생각하는 연구 성과로 캠서스캠지에 발표한 ‘기상공정을 이용한 그래핀-금속산화물 복합체 합성 및 리튬이차전지 적용’에 관한 논문을 꼽았다.
최씨는 이 논문에서 합성 그래핀-금속산화물이 흑연전극보다 2배 이상 높은 용량을 가진데다 충전·방전 테스트에서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흑연전극은 현재 상용되는 대부분의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물질이다.
최씨가 이같은 연구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성실성 덕택이었다. 그는 1년에 명절 등 하루 이틀을 제외하고는 하루 10시간 이상씩 연구실과 실험실을 오가며 연구에 몰두했다고 한다.
최씨는 “논문을 작성할 때 연구목적을 밝히기 위해 기존의 방대한 사전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일이 가장 힘들었다”며 “박사과정에 들어가 관련 연구를 계속 이어나갈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