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30%·대기업 42% “고충”…응답자 73% 등록금 개인 부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전문대보다는 4년제 대학을 다니는 직장인 대학생이 ‘상사의 눈치’로 인해 학업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14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발표한 ‘2014년 고졸 취업자 후 진학 계속교육 실태 조사’에서 대기업에 다니는 대학생의 42.7%가 상사의 눈치 때문에 일과 학습의 병행이 어렵다고 응답한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이유를 선택한 중소기업 근무자는 30.8%로, 대기업이 11.9% 포인트 더 높았다. 이 조사는 학위 취득을 위해 4년제 대학과 전문대, 사이버대 등을 다니는 직장인 126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일·학습 병행이 어려운 이유(복수응답)로는 학습시간 부족이 46.4%, 교육비 부담 37.8%, 상사의 눈치 32.9%로 조사됐다. 직장인 대학생 대다수(73.4%)가 등록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개인이 부담하고 있었다. 중소기업 직장인의 외부 교육비 지원 출처는 정부(37.8%), 대학(32.7%), 회사(28.6%) 순으로 정부 의존도가 높았던 반면, 대기업은 회사(48.3%), 대학(33.4%), 정부(25.9%) 순이었다. 정부의 선 취업 후 진학 지원 정책이 중소기업과 연계된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전문대를 다니는 직장인의 41.0%가 교육비 부담이 크다고 응답해 4년제 대학(35.3%)보다 5.7% 포인트 높게 나왔다.
김기홍 직능원 선임연구원은 “자기 계발을 위해 학습을 병행하는 직원에게 ‘눈치 주는’ 문화보다는 ‘격려하는’ 성숙한 기업문화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5-04-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