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24년전보다 3분의 1 감소…서울 작년 6만5천쌍

결혼식 24년전보다 3분의 1 감소…서울 작년 6만5천쌍

입력 2015-05-04 13:18
수정 2015-05-04 13: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름 결혼 증가폭 커…재혼 여성+초혼 남성 늘어

서울에서 결혼하는 커플의 숫자가 24년전에 비해 3분의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연구원이 발간한 ‘서울시민 결혼, 얼마나 줄고 있나’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선 6만5천쌍, 하루 평균 178쌍이 결혼했다. 이는 1990년 10만4천쌍과 비교할때 37.6% 준 것이다.

지난해 결혼 유형별로는 초혼부부가 84.8%로 가장 많았고 재혼부부(7.8%), 재혼 여성+초혼 남성(4.0%), 재혼 남성+초혼 여성(3.4%)이 뒤를 이었다.

서울연구원은 “1998년을 기점으로 재혼 여성과 초혼 남성 결혼 비중이 재혼 남성과 초혼 여성 결혼 비중보다 커졌다”고 말했다.

한편,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15년간 계절별 결혼 건수는 봄인 3∼5월과 가을인 9∼11월에 가장 많았으나 최근에는 그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봄에 올리는 결혼식은 2000년 한 해 결혼식의 33.3%를 차지했으나 지난해에는 28.7%로, 가을 결혼식은 같은 기간 31.9%에서 30.7%로 줄었다.

반면, 여름과 겨울 결혼식 비중은 각각 12.3%에서 19.2%, 22.5%에서 23.7%로 늘었다. 특히 여름은 증가 폭이 6.9%포인트로 가장 컸다.

지난해 초혼 연령은 남자가 32.8세, 여자가 30.7세로 20년 전보다 각각 4.2세, 4.9세 늦어졌다.

서울 남성의 초혼 연령은 1994년 28.6세에서 1999년 29.4세, 2004년 30.9세, 2009년 32세, 2014년 32.8세로 변화했다.

여성은 1994년 25.8세에서 1999년 27세, 2004년 28.3세, 2009년 29.6세, 2014년 30.7세로 늦어졌다.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성동·강동·광진구 가족센터 간담회 참석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위원장 아이수루·비례)가 지난 9일 성동구, 강동구 및 광진구 가족센터에 방문, 각 가족센터에서 추진하는 다문화 관련 사업 현황 공유 및 애로사항, 기타 지원 필요 사항 등에 대해 의견을 경청하고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다문화위원회는 작년 2024년 8월 26일, 은평 다문화박물관에서 개최한 ‘함께 만드는 서울의 다채로운 내일,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출정식’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지속적인 공식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다문화위원회가 출범된 지 9개월째 가족센터 방문으로, 지난 3월에는 구로구, 은평구 가족센터 간담회 방문에 이어, 4월 2달 연속으로 방문한 가족센터 현장 간담회 자리로, 이 날 간담회로 다문화가정 및 이주민의 실태와 문제점, 기타 요구사항에 대한 현장 목소리는 물론, 향후, 서울시 다문화정책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여서 더욱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날 개최한 간담회는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아이수루 위원장(비례)과 임규호 위원(중랑), 그리고 각 센터별 중국, 필리핀, 베트남, 일본 등 이주노동자를 비롯해 센터 직원 및 사무직원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첫 방
thumbnail - 아이수루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다문화위원회’ 성동·강동·광진구 가족센터 간담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