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시장 경비원들까지 ‘갑질’

대형시장 경비원들까지 ‘갑질’

최선을 기자
입력 2015-06-30 23:34
수정 2015-07-01 03: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로에 물건 진열해도 봐줄게” 상인 300여명에 5500만원 뜯어

상인들에게 ‘갑질’ 행세를 하며 상습적으로 돈을 뜯어온 도심의 대형 시장 경비원들이 경찰에 붙잡혔다.

서울 혜화경찰서는 종로구 A시장의 경비 책임자인 김모(63)씨 등 3명을 상습 공동공갈 혐의로 구속하고 이모(56)씨 등 1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들은 2013년 4월부터 2년 동안 시장 상인 300여명으로부터 5500여만원을 갈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들은 질서유지를 위해 시장 관리회사가 채용한 경비원들로, 상인들이 도로에 물건을 진열하지 못하게 하고 개별 난방용 화기 사용을 단속하는 등 업무를 해 왔다. 그러나 이들은 “적발되더라도 봐주겠다”며 ‘보호비’ 명목으로 노점은 매일 3000원, 점포는 매주 5000원씩을 뜯어냈다. 명절 때는 ‘떡값’ 조로 1만원씩을 추가로 걷었다.

상인들은 금품 요구를 거절할 경우 보복성 단속을 당하거나 점포 임대 재계약에 불이익을 받을 것을 우려해 돈을 건넨 것으로 경찰 조사에서 드러났다. 경찰은 서울의 다른 대형 시장에서도 비슷한 갈취 행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7-0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