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적 암시 때 훈계는 상황 악화… 자살 기도자 절반은 주변에 표현
“요즘 불안해. 잠도 안 오고, 무기력하고….” “정말 힘들어.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 “나는 아무짝에도 쓸모없어….”

비영리민간단체 ‘라이프’(자살예방행동포럼)는 자살을 암시하는 말들과 함께 그 징후에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웹툰 ‘내가 그땐 왜 몰랐을까’(www.facebook.com/LIFEwooriga)를 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웹툰은 “더이상 사는 것이 의미가 없어”, “언젠가 다시 태어나면 좋겠다”는 등의 자살을 암시하는 언어적 징후의 예를 제시해 주변 사람들의 자살 위험 신호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를 소개하고 있다.
이명수 라이프 위원장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가만히 들어주는 것만으로도 생명을 지키고 살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자살을 기도한 사람은 직간접적으로 주변 사람들에게 자살 의도를 공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발표한 ‘자살 실태조사’(2013년)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자살 기도 경험자 1256명 중 자신의 자살 의도를 어떤 식으로든 주변에 표현한 적이 있는 사람이 53.4%(671명)로 조사됐다.
김현정 한국자살예방협회 대외협력위원장(국립중앙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최근 가족을 잃거나 이혼을 했다든지, 직장을 잃은 상태 등에서 ‘죽을 것 같다’는 말을 자주 하는 경우, 또 일상생활에서 볼 수 없었던 낯선 행동을 한다면 자살 실행 계획을 짠 단계까지는 아니더라도 자살을 염두에 둔 가능성이 높은 사람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누군가로부터 이런 자살 의심 신호를 발견할 때 이야기를 들어주고 위로해 주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김정호 조선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세상으로부터 버려졌다는 느낌이 들더라도 가족, 친구, 동료 등 주변 사람들에 대한 소속감이 유지된다면 자살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다”며 “얼굴을 보면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전문기관에서 상담을 받도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5-07-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