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에 목숨 건 의료인들, 월급 걱정”

“메르스에 목숨 건 의료인들, 월급 걱정”

입력 2015-07-30 15:53
수정 2015-07-30 15: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보건의료노조 대전충남지부 기자회견…”정부 예산 반토막, 대책 실종”

“목숨을 걸고 메르스 치료에 임했던 의료기관들이 재정난에 시달리면서, 직원들은 월급을 걱정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대전충남지역본부는 30일 충남도청 브리핑룸에서 ‘메르스 대책 마련 촉구와 공공의료 확대를 위한 노동·시민사회단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지자체가 메르스 환자 치료에 나섰던 의료기관들을 더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더 확실한 감염병 대책을 내놓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회견문에서 “이번 메르스 사태를 통해 전체 의료기관 수 대비 5.7% 밖에 되지 않는 경제협력기발기구(OECD) 최하위 수준의 공공병원 실상이 드러나면서 정부와 지자체가 공공의료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더욱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제2 메르스 사태를 막는다며 국회 보건복지위가 마련한 5천억원의 메르스 피해지원 예산은 2천700억원으로 반토막났고,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을 위한 예산 101억원도 전액 삭감되는 등 실효성 있는 감염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이들은 지적했다.

이들은 “메르스 바이러스 최고의 숙주는 낙타가 아니라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였다”면서 “대한민국 보건의료체계를 바꾸지 않는 한, 메르스 사태는 되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와 충남도가 이번 메르스 사태로 인해 심한 재정난을 겪고 있는 의료기관들을 적극 지원해 줄 것을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