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등 서부전선 지역 표정
“산들이 울릴 정도로 큰 굉음이 들렸다. 북한군의 포격인 줄 알고 깜짝 놀랐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방공호로 대피한 주민들
20일 북한군이 경기 연천군 중면 지역에 로켓포로 추정되는 포탄을 발사한 후 횡산리와 삼곶리 주민 20여명이 불안한 표정으로 중면사무소 지하 방공호에 앉아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하지만 민통선 이외 지역은 대체로 차분한 분위기였다. 주민들은 대부분 집이나 상가, 마을회관에서 TV를 시청하던 중 북에서 포격을 가한 사실을 알았을 만큼 조용했다. 주민들은 포 소리를 들은 시점이 이날 오후 5시 5분쯤이라고 기억했다. 북한군이 오후 3시 53분쯤 연천군 중면 지역에 로켓포로 추정되는 포탄 1발을 발사하고 나서 우리 군이 대응사격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간이다.
한편 이날 북한군의 서부전선 포격과 관련해 경기 연천·파주·김포와 인천 강화 지역 주민 2000여명에게 대피 명령이 내려졌다. 먼저 오후 4~5시 사이 군의 대피 명령에 따라 연천군 중면·신서면, 김포, 인천 강화 주민이 각 대피시설로 대피했다. 파주 민통선마을 등의 주민은 오후 7시쯤 대피 명령에 따라 이동을 시작했다.
민통선마을 안에서 농경 작업 중이던 외부 주민들과 파주 임진각 등 안보관광지에 있던 상인 및 관광객들도 전원 철수 조치됐다. 연천 지역에서는 중면 219명, 신서면 95명이 각각 대광리, 도신리, 삼곶리, 횡산리 대피시설로 이동했다. 육군 28사단 휴가 복귀자 15명도 일단 연천군청 대피소로 이동했다.
파주 지역에서는 유일한 비무장지대(DMZ) 내 마을인 군내면 대성동마을과 민통선 마을인 진동면 해마루촌·통일촌에서는 280여 가구 800여명이 대피했다. 김포 지역 주민 494명, 강화 지역 주민 300여명도 인근 학교와 대피시설 등으로 피했다.
경기도는 위기대응상황실을 김희겸 행정2부지사를 본부장으로 하는 통합방위지원본부로 격상했으며 관련 부서 직원을 전원 대기 조치시켰다. 또 경찰청은 경기지방경찰청 등에 작전상황반을 설치하고 해당 지역 112 타격대 등 작전부대에 출동 태세를 확립하도록 했다.
한편 이날 오후 10시쯤 연천 일부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집으로 돌아갔다.
한상봉 기자 hsb@seoul.co.kr
2015-08-21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