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시간 일하고 최저임금도 못 받고’…고단한 老人

‘18시간 일하고 최저임금도 못 받고’…고단한 老人

입력 2016-03-24 16:12
업데이트 2016-03-24 16: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금 근로자 노인 41% 청소·경비 업종에 종사…휴가·재해보상도 없어

일하는 서울 노인들은 평균적으로 최저임금도 못 받는 등 열악한 근로 환경에 놓인 것으로 조사됐다.

윤민석 서울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4일 ‘일하는 서울 노인의 특성과 정책방향’ 정책리포트에서 지난해 서울시에 사는 만 65세 이상 일하는 노인 1천명을 조사한 결과 임금 근로자 노인이 법정 근로시간보다 오래 일하며 최저임금도 받지 못한다고 밝혔다.

임금 근로자 노인의 평균 근로시간은 하루 12.9시간이고 월 평균 임금은 122만 8천원이다. 시간 당 임금이 5천457원으로 당시 최저임금(5천580원)보다 낮았다. 일반 임금 근로자 월 평균 임금(320여만원, 2014년 기준)의 절반도 못받는 셈이다.

노인 임금 근로자의 일자리는 85.4%가 경비와 청소, 가사도우미, 운전사 등 단순 노무직에 집중돼있다.

서울은 인구의 12%가 만 65세 이상 노인이고, 그 중 40%가 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하는 노인의 62%가 생계 때문에 일하고 있다.

2013년 기준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은 47.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가장 높고 65세 이상 경제활동 참가율은 30.1%로 아이슬란드에 이어 2위인 상황이다.

노인 임금 근로자 30.4%는 근로계약서를 쓰지 않고, 57.1%는 근로 기간을 정하지 않는 등 근로기준법상 권리를 누리지 못했다. 노인들은 휴가나 재해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한다.

특히 노인 임금 근로자 41%가 종사하는 청소·경비업종은 근로 환경이 더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근로시간이 18.26시간이고 근로시간과 휴식시간, 식사시간 등에 관한 지침이 없다. 월 평균 임금은 약 131만원이다.

자영업자도 하루 평균 10.9시간 일하고 159만 3천원을 버는 데 그쳤다.

노인 자영업자는 36.8%가 매장 판매직, 5.3%가 노점이나 방문판매직 등이다.

그런데도 일하는 노인들의 만족도는 65% 수준으로 높다. 일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기쁜 것이다.

윤 부연구위원은 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로 이원화된 노인 관련 중앙정부 사업을 서울시 차원에서는 통합해야 한다면서 만 65세 이상도 고용·산재보험에 가입하는 규정을 만드는 등 일하는 노인을 위한 제도 개선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라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