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할린 징용자 유골 11위 70여년 만에 고국서 영면

사할린 징용자 유골 11위 70여년 만에 고국서 영면

송한수 기자
송한수 기자
입력 2016-09-21 22:50
업데이트 2016-09-22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반도를 강탈한 일제는 1938년부터 3만여명에 이르는 우리 선조들을 러시아 사할린으로 끌고 갔다.

이들은 광복 때까지 탄광과 토목공사 현장, 공장 등에서 혹독한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 사할린에 남은 한인은 해방을 맞이하고도 1990년 한·러 수교 전까지 귀국할 길을 잃은 채 삶을 마쳤다. 이른바 ‘카레이스키’로 불리던 그들이다.

일제강점기 사할린에 강제로 동원됐던 한국인 희생자 유골 11위가 70여년 만에 21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고국으로 돌아왔다. 모두 남성이다. 행정자치부는 러시아 정부와 협의를 통해 한국인 희생자 유골 11위를 봉환해 22일 충남 천안 ‘국립 망향의 동산’에 안치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2013년 5월 러시아와 한인묘지 발굴과 봉환에 합의해 처음으로 1위를 봉환한 이후 2014년 18위, 지난해 13위를 봉환했다. 이번에 고국의 품에 안기는 11위는 지난 19∼20일 발굴됐다. 이날 현지에서 추도식을 거행해 넋을 위로했다.

김성렬 행자부 차관은 “사할린 한인 희생자 유골 봉환은 유족에게 평생의 숙원사업인 만큼 더욱 적극적이고 꾸준하게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9-22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