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발만 터져도 손가락 절단…폭음통 화약 1천600개 분리

1발만 터져도 손가락 절단…폭음통 화약 1천600개 분리

입력 2016-12-14 15:39
업데이트 2016-12-14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軍서 2007년·2012년에도 폭발사고…간부가 사병 동원해 ‘위험한 해체’

울산 군부대에서 폭발 사고를 일으킨 폭음통의 위력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군 헌병대는 1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고 경위를 설명했다.

군은 길이 5㎝, 직경 1.5㎝로 일회용 배터리 크기보다 작은 폭음통은 저능성 폭약이지만 1발이 터지면 초당 400m를 날아가며, 25m 떨어진 거리에서 103㏈(데시벨, 100㏈에 15분간 노출되면 청력 손상이 일어남)의 위력이 있다고 밝혔다.

군에 따르면 폭음통 1발에 든 화약량은 3g으로 1천600개를 해체해 나온 화약은 5㎏정도다. 이 중 상당량이 한꺼번에 버려졌다가 폭발했기 때문에 샌드위치 패널이 부서지고 파편에 맞아 병사들이 부상했으며, 바닥 콘크리트가 패일 정도의 폭발과 섬광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폭음통에 의한 사고 사례는 전에도 있었다.

2007년 경기도의 한 부대에서 부사관 1명이 폭음탄 10개를 불법적으로 해체하고 모아둔 화약을 삽으로 건드려 폭발이 일어나면서 발목이 절단됐다. 2012년에는 군의 한 중위가 손에 들고 있던 폭음통이 터지면서 손가락이 절단되기도 했다.

사고가 난 부대는 이런 위험한 폭음통 1천600개를 도구를 이용해 일일이 해체했다.

탄약관인 이모(30) 중사가 정보작전과장에게 올해 소모하지 못한 폭음탄 1천600개를 한꺼번에 소모해야 한다고 보고했고, 작전과장은 대대장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

대대장으로부터 “위험하니 비 오는 날 소모하라”는 지시를 받은 이 중사는 소대장 1명과 병사 4명 등 5명에게 폭발통을 해체하도록 했다.

병사들은 쇠 공구를 이용해 손으로 일일이 폭음통의 뚜껑을 자르고 속에 든 화약을 빼내는 방법으로 해체했다. 위험한 폭발물의 해체가 간부의 묵인과 지시에 따라 안전을 담보 받지 못한 사병들에 의해 이뤄진 것이다.

폭음통의 위험성은 대대장 등 간부들이 이미 인지하고 있었다고 군 관계자는 밝혔다.

사고가 난 부대가 올해 수령한 폭음통은 총 1천842발로 이 중 242개만 사용하고 86.7%인 1천600개나 남아있었던 이유도 위험성 때문에 훈련 때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폭음통은 주로 소리를 일으켜 군 훈련 때 효과를 배가시키는 데 사용하지만 손에 들고 도화선에 불을 붙여 직접 던져 사용하기 때문에 손에 상처를 입거나 소리에 귀를 다치는 등 위험해 사용을 꺼린 것으로 보인다.

미사용 폭음통을 다음 해에 사용하도록 이월하지 않고 해체했던 이유도 드러났다.

군 헌병대는 잉여탄이 생기면 상급부대의 질책이 우려돼 고의로 사고 장소에 폐기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