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웃 작은 등불] “내가 입 다물면 또 다른 문단 성폭력… 여중생 폭로에서 변화 봤다”

[내 이웃 작은 등불] “내가 입 다물면 또 다른 문단 성폭력… 여중생 폭로에서 변화 봤다”

입력 2016-12-21 22:38
업데이트 2016-12-22 0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 ‘박범신 성추문’ 고발 편집자

소리지르고 뭐라도 해야 변해 “인터뷰 후 일종의 의무감 생겨”
여성들 서로 도울 시스템 필요

“박(범신) 작가의 성희롱 폭로에 후회는 없습니다. 제가 입을 다물었다면 또 다른 여성이 어디선가 내가 겪었던 피해를 똑같이 받고 있겠죠. 성폭력 피해자가 입을 다물면 변하는 건 아무것도 없더군요. 결국은 스스로 소리라도 지르고 뭐라도 해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소설 ‘은교’의 저자 박범신 작가의 성추문을 고발하는 글을 익명 트위터에 올려 문단 내 성추문 문제를 이끌어 낸 프리랜서 편집자 A(29·여)씨는 서울신문 인터뷰<11월 11일자 14면> 보도 이후 일종의 ‘의무감’을 갖게 됐다고 했다. “예전에는 지하철에서 몸을 만지고 도망가는 남성을 잡으려다 힘들어서 포기한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제가 침묵하면 다른 여성이 피해자가 될 수도 있겠더라고요. 여성들이 함께 힘을 내야 하는 이유입니다.”

21일 서울 용산구의 한 카페에서 만난 A씨는 최근 서울 강남 S여중 학생들의 교사 성추행 폭로를 보며 사회가 조금씩 변화하는 것을 느꼈다고 했다. “아이들이 용기를 내 익명 트위터에 교사들의 음담패설들을 폭로했잖아요. 결국 교육청이 감사를 하고 경찰이 수사에 나섰고요. 여성에게 가해지는 성희롱 발언이나 행위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침묵하지 않고 함께 목소리를 내면 변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는 지난 인터뷰에서 “나는 당신의 은교가 아니다. 여성이고 사람이다”라고 선언했다. 이후 문단, 영화계, 미술계, 교육계, 체육계 등에서도 폭로가 이어졌다. 이후 일부 여성이 연대하고 싶다고 문의했고, 현직 편집자들이 성희롱에 대해 조언을 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A씨는 하나의 대대적인 움직임이 되기에는 한계가 많았다고 했다. “사실 현직에 있으면 당장 먹고사는 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쉽게 이야기를 꺼내기 어려워요. 특히 위계에 의한 성추행은 여성 혼자 목소리를 내기는 더욱 힘들죠. 피해자가 오히려 움츠러들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를 깨려면 갈 길이 아직 멉니다. 무엇보다 여성이 서로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나 도구가 트위터를 넘어 더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그는 요즘 페미니즘을 다루는 책을 편집하고 있다고 전했다. “여성 독자들이 그간 페미니즘과 관련한 콘텐츠에 얼마나 목말라하고 있었는지 체감하고 있습니다. 신체적, 사회적 우월감을 이용해 직위가 낮은 사람을 성적으로 침해할 수 있다는 저급한 인식을 바꾸려면 사회 구성원 모두가 같이 노력해 나가야겠죠.”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12-2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