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줄어 전체 사망의 10.4%…OECD 평균보다는 4%P 높아
지난 5년간 한국인의 사망원인은 질병, 자살, 운수사고, 낙상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는 2일 2011~2015년 안전사고 통계를 발표했는데 2015년 총사망자 숫자는 27만여명이었다.
안전처는 최근 5년간 안전사고 사망자는 약 11% 줄었으며, 자동차·열차·항공·선박사고 등 운수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고 밝혔다.
자살자 숫자는 2011년 1만 5000여명에서 2012년 1만 4000여명으로 1700여명 준 데 이어 재작년에도 전년보다 300여명 감소했다. 안전사고 사망자 숫자가 줄긴 했지만 안전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6.3%보다 4% 포인트 이상 높다.
오는 6일부터 다음달 말까지 안전처는 ‘국가안전대진단’을 통해 지하철, 여객선, 항공기, 열차, 초고층빌딩, 요양병원, 초등학교 등 사고위험이 큰 12개 분야를 포함한 취약시설 안전점검을 벌인다. 사회 전 분야에 대한 안전점검을 통해 지속적으로 안전사고를 줄이게 된다.
안전처 관계자는 “국민 스스로 매월 4일 안전점검의 날에 가정, 학교, 직장별로 마련한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주변 위험요소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7-02-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