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 총학생회 결국 물리적 충돌… 153일 본관 점거 해제… 갈등 남아

서울대 - 총학생회 결국 물리적 충돌… 153일 본관 점거 해제… 갈등 남아

박기석 기자
박기석 기자
입력 2017-03-12 23:10
업데이트 2017-03-13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학교, 직원들·사다리차 투입 30명 끌어내… 1명 병원 이송

서울대 시흥캠퍼스 조성에 반대하며 153일간 본관(행정관)을 점거해 온 학생들이 지난 11일 학교 측과의 물리적 충돌 끝에 점거를 해제했다. 학교 측은 주요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행정기구의 본관 입주가 불가피했다는 입장이지만, 총학생회는 학교 측이 강제 퇴거를 위해 과도한 물리력을 사용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대 직원들이 지난 11일 오전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에 반대하면서 점거한 서울 관악구 대학 본관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 직원들이 지난 11일 오전 학생들이 시흥캠퍼스 조성 사업에 반대하면서 점거한 서울 관악구 대학 본관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대는 이날 오전 6시 30분 직원 400여명과 사다리차 등을 동원해 학생들이 점거하고 있던 본관에 진입해 학생 30여명을 끌어냈다. 양측의 충돌 과정에서 학생 한 명이 혼절해 병원으로 이송됐다.

학교 측은 지난주 초 본관 5개층 중 4층을 학생들에게 점거 공간으로 내주는 대신 나머지 층에는 행정기구를 이주시키겠다는 공문을 총학에 보냈다. 오는 5월 중소기업청이 주관하는 학생창업사업인 크리에이티브 팩토리를 해동학술정보관에 설치하기 위해 이곳에 있는 일부 행정기구가 본관으로 복귀해야 한다는 설명도 곁들였다.

총학은 “학교 측이 4층에 진입하지는 않았지만 4층에 있던 학생 14명이 다른 학생과 교대하거나 식료품을 전달받는 것을 사실상 저지해 공문상 약속을 어겼다”며 “무엇보다 소화전을 이용해 학생들을 막는 것은 폭력 진압”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학교 측은 “학생들이 소화기를 이용해 문을 부수고 건물 1층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소화 분말이 터져 직원들이 분말을 가라앉히기 위해 소화전으로 물을 분사했다”고 반박했다.

이날 오후 5시 30분쯤 고립된 학생 14명이 퇴거하면서 학생 측은 본부 점거를 자진 해산했다. 총학은 본래 장기 농성에 대한 학내 의견이 갈리면서 다음달 4일 점거 농성 유지 여부를 물을 계획이었지만, 이번 사태로 3월 13일 집회를 열고 투쟁계획을 결정하기로 했다.

한편 서울대는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 경기 시흥시 배곧신도시 66만 1000㎡ 부지에 2018년 3월부터 차례로 캠퍼스를 조성할 계획이다. 시흥시가 부지를 제공하고 한라건설이 건설비용을 지원한다. 이에 대해 학생들은 신도시 조성 수익사업에 대학이 이용돼서는 안 되고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며 지난해 10월 10일부터 농성을 이어 왔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3-13 1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