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임 이정미 “파면,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이젠 화합”

퇴임 이정미 “파면,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이젠 화합”

입력 2017-03-13 11:20
업데이트 2017-03-13 13: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주의 요체는 다른 의견 존중…분열과 반목 떨쳐내길”

이정미(55·사법연수원 16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선고를 두고 “참으로 고통스럽고 어려운 결정”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13일 오전 11시 헌재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자신의 퇴임식에서 “헌재는 이번 결정을 하면서 헌법과 법률에 따라 공정하게 절차를 진행하면서 헌법의 정신을 구현해 내기 위해 온 힘을 다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통치구조의 위기 상황과 사회갈등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그리고 인권 보장이라는 헌법의 가치를 공고화하는 과정에서 겪는 진통이라고 생각한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어 그는 “비록 오늘은 이 진통의 아픔이 클지라도 우리는 헌법과 법치를 통해 더 성숙한 민주국가로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이 대행은 중국 고전 ‘한비자’ 중 “법의 도리는 처음에는 고통이 따르지만, 나중에는 오래도록 이롭다”는 뜻의 ‘법지위도전고이장리(法之爲道前苦而長利)’라는 소절을 인용하며 법치주의 실현을 강조했다.

그는 “우리가 사랑하는 민주주의의 요체는 자신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는 데 있다”며 “이제는 분열과 반목을 떨쳐내고 사랑과 포용으로 서로를 껴안고 화합하고 상생하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행은 이날 퇴임으로 1987년 판사로 임관한 이래 30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감했다. 그의 평소 인품처럼 검소하고 소박하게 진행된 퇴임식은 오전 11시에 시작해 국민의례-약 6분의 퇴임사 낭독-꽃다발 증정 순으로 모두 9분 만에 종료됐다.

퇴임식장엔 헌재 직원 약 100명만이 참석했을 뿐 송두환(68·사법연수원 12기) 전 헌법재판관 외엔 특별한 외빈이 없었다. 남편과 아들·딸도 보이지 않았다.

헌재 관계자는 “이 대행이 행사를 요란하게 하고 싶지 않다고 해 가족들도 퇴임식에 초청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이 대행은 출근길 자신을 기다리는 취재진에 먼저 허리를 굽히고 “고생하셨습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이 대행은 사법연수원 교수와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등을 거쳐 대전고법 부장판사 시절인 2011년 3월 14일 이용훈 당시 대법원장의 지명으로 여성으로서는 두 번째 헌법재판관이 됐다.

2014년 12월 선고한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 사건의 주심 재판관을 맡았고, ‘김영란법’으로 잘 알려진 부정청탁금지법, 국회 선진화법 등 주요 사건 대부분에서 대체로 다수 의견을 냈다.

특히 그는 1월 31일 박한철 전 헌재소장의 퇴임 후 권한대행을 맡아 탄핵심판을 진두지휘하며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8명의 재판관 중 가장 젊고 사법연수원 기수도 늦지만 부드러우면서 때론 과감한 지휘로 중대하고도 어려운 역사적 사건을 이끌었다.

이 대행 퇴임 후 헌재는 재판관 회의를 열고 임명일 순으로 선임자인 김이수(64·연수원 9기) 재판관을 차기 소장 권한대행으로 호선할 계획이다.

양승태 대법원장이 이 권한대행의 후임으로 지명한 이선애(50·사법연수원 21기) 재판관이 임명될 때까지 헌재는 당분간 재판관 7인 체제로 운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