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주한 朴 전 대통령 사저…지지자들 ‘한달치 집회 신고’

분주한 朴 전 대통령 사저…지지자들 ‘한달치 집회 신고’

입력 2017-03-13 17:13
업데이트 2017-03-13 17: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재진 향한 도넘은 패륜욕설 난무

이미지 확대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박근혜 지킴이 결사대 등 박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13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동 박근혜 전 대통령 사저 앞에서 박근혜 지킴이 결사대 등 박 전 대통령 지지자들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근혜 전 대통령이 강남구 삼성동 집으로 돌아온 다음 날인 13일에도 사저 안팎은 분주했다.

집 밖은 박 전 대통령의 지지자들과 취재진이 뒤엉켜 소란스러웠고, 집 안은 4년 넘게 비워뒀던 공간을 다시 채우느라 바빴다.

박 전 대통령의 지지자 십여 명은 태극기를 흔들며 전날부터 밤새 사저 앞 골목을 지켰다. 이들은 해가 뜰 무렵부터 ‘억지 탄핵’, ‘탄핵무효’를 외쳤다.

오후 2시에는 ‘박근혜지키미결사대’가 박 전 대통령의 집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헌법재판소의 탄핵결정에 불복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신변안전과 심리적 안정을 경호하겠다”며 다음달 12일까지 집회를 하겠다며. 강남경찰서에도 신고접수를 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통령의 집 앞에 모인 지지자 숫자가 점점 늘어나자 경찰은 폴리스라인을 설치해 차량이 이동할 통로를 확보했다.

지지자들은 이날도 언론을 향해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촬영기자가 건물에 올라가지 못하게 막다가 경찰에 제지 당하기도 했다. 한 지지자는 취재진이 박 전 대통령의 집안을 사진 찍는 것은 불법이며 인권침해라며 112에 신고했다.

한 중년 남성과 중년 여성은 여자 기자를 향해 입에 담기 민망한 성희롱 발언가 욕설을 쏟아냈다. 함께 있던 지지자들은 웃으며 동조하는 분위기였다.

사저 앞을 지나가던 어린이집 봉고차 안에 앉아있던 선생님은 함께 탄 아이들에게 욕설이 들리지 않도록 열어뒀던 창문을 황급히 닫았다.

청와대 경호인력은 해가 뜨기 전부터 사저를 들락날락하며 박 전 대통령의 복귀 후 첫 아침을 맞이할 준비를 했다. 이들은 마스크로 얼굴을 가리거나 청와대 경호원을 상징하는 배지가 보이지 않게 뒤집어 다는 등 신분 노출을 최소화했다.

박 전 대통령이 전날 집으로 돌아올 때 타고온 에쿠스 차량은 오전 9시20분께 밖으로 나갔다가 12시40분께 집으로 돌아왔다. 뒷좌석에는 커튼이 쳐져 있어서 누가 타고 있는지는 보이지 않았다.

정수기 1대와 생수 2통을 실은 트럭이 오전 8시 50분께 집 앞에 도착했다. 잠시 후 이 트럭은 대형 온풍기를 싣고 나왔다. 집 안에서는 서류뭉치로 가득 찬 박스와 오래된 책상 2개가 트력에 실려나갔다. 집 근처 CCTV도 교체했다.

자유한국당 조원진 의원이 오전 10시 10분께 홀로 박 전 대통령의 집을 찾았다. 조 의원은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사저에 들어가 박 전 대통령을 만나 80분가량 대화를 나눴다.

동네 주민 김희진(77)씨는 “박 전 대통령이 돌아와서 불편한 건 없지만 밤늦게까지 태극기 흔들고 소리 지르는 사람과 이를 취재하려는 언론 때문에 좀 힘들기는 하다”고 토로했다.

사저 바로 옆 건물에 사는 이모(63)씨는 “자기 뜻을 밝히는 건 좋은데 주위 사람들한테 피해를 주니까 문제”라며 “소리 좀 줄여달라고 했더니 시끄러우면 당신이 이사 가라고 말하더라”고 불편한 내색을 드러냈다.

경찰은 사저 주변에 방범순찰대 1개 중대와 우발상황에 대비한 3개 중대 등 경찰병력 320여명을 투입해 관계자 외 사저 접근을 막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