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업체 가짜 캐릭터 인형 싸게 공급…내분비계 교란물질 가소제 395배 검출
최근 청소년들에게 인기가 높은 ‘인형 뽑기방’의 캐릭터 인형 상당수가 가짜일 뿐더러 일부 제품에서는 인체에 유해한 가소제 성분이 검출됐다.
연합뉴스
전국 1705곳에서 성업 중인 인형 뽑기방에 불법 유통된 가짜 캐릭터 인형 53만점을 적발한 관세청 직원이 9일 서울 강남구 세관창고에서 압수 인형을 정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들은 가짜와 진짜 인형을 구별하기 어려운 점을 악용해 정품보다 30∼40% 저렴한 4000원에 짝퉁 인형을 뽑기방에 공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적발된 인형 캐릭터는 국산 카카오프렌즈·마시마로와 외산 포켓몬·스폰지밥 등으로 다양했다.
조사결과 중국산 봉제인형의 주 반입항인 인천·평택항에서 검사·단속이 강화되자 부산항 등으로 수입 경로를 변경해 밀반입을 시도했다. 부산세관은 지난달 짝퉁 캐릭터 인형 12만 8390점(18억원 상당)을 적발됐다.
검사 회피를 위해 일반화물이 아닌 국제우편을 이용해 짝퉁 인형 19종(3753점)을 소량 분산 반입한 사례도 있었다.
짝퉁 인형을 들여오면서 품명을 ‘스펀지’로 표기하는가 하면, 다른 화물과 같이 실어 밀반입하기도 했다. 인형에 헝겊안대를 부착하는 등 특징을 감춰 검사를 피하려 한 사례도 확인됐다.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보다 395배 높게 함유된 저가 위조 봉제인형에 허위로 KC(국가통합) 인증마크를 붙여 유통하기도 했다. 위조 봉제인형을 국내 창고에 보관하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주문받는 방식으로 무자료 거래한 유통상들도 적발됐다.
관세청은 국민 건강과 캐릭터·게임산업 발전을 침해하는 불법 무역행위 차단을 위해 화물검사를 강화하고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기관과 지속적인 단속을 벌일 방침이다.
한편 국내 등록된 뽑기방은 2015년 21개에서 지난해 880개로 증가한 뒤 2017년 3월 현재 1705개에 달했다. 봉제인형 수입액도 2015년 3100만 달러에서 지난해 6400만 달러로 2배 이상 증가한 데 이어 올해 5월 현재 41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6-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