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 피자헛 ‘어드민피 갑질’ 또 인정…“점주들에 돈 반환”

법원, 피자헛 ‘어드민피 갑질’ 또 인정…“점주들에 돈 반환”

입력 2017-09-04 06:56
업데이트 2017-09-04 0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드민피·이자 3억7천만원 지급…가맹금 약정·묵시적 합의 인정 안 돼”

가맹점주들에게 계약서상 근거 없이 ‘갑질 가맹금’ 성격의 ‘어드민피(Administration Fee·구매·마케팅·영업 지원 명목으로 받는 가맹금)’를 받아온 한국 피자헛이 점주들과의 소송에서 또 패소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41부(권혁중 부장판사)는 강모씨 등 피자헛 가맹점주 17명이 한국 피자헛을 상대로 낸 부당이득금 반환 청구 소송을 일부 받아들여 “점주들에게 이자를 포함해 총 3억7천여만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고 4일 밝혔다.

이 판결이 확정되면 가맹점주들은 1인당 최소 400여만원에서 최대 3천600여만원을 돌려받게 된다.

재판부는 “피자헛과 점주들 사이 가맹계약서에 어드민피를 지급하기로 약정돼 있다고 볼 수 없고, 묵시적 합의가 성립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다만 일부 가맹점주들은 어드민피를 지급하겠다는 합의서를 작성한 점이 인정돼 지출한 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됐다. 2012년 4월 이후 신규로 계약을 맺거나 기존 계약을 갱신한 일부 점주는 ‘매달 매출의 0.8%를 본사에 어드민피로 지급하겠다’는 합의서를 작성했다.

재판부는 “가맹점주들이 작성한 합의서는 어드민피를 부과할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합의서 작성 이후 피자헛이 받은 어드민피는 부당이득이라고 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가맹점주들이 피자헛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이긴 것이 처음은 아니다. 점주 75명은 지난 6월 항소심에서 1인당 최대 9천여만원의 부당이득금을 반환하라는 일부 승소 판결을 받은 바 있다.

피자헛은 2003년부터 구매·마케팅·영업지원 등 각종 행정 지원을 제공하는 대가로 어드민피를 받아왔다. 도입 당시 월 매출액의 0.34%였지만 몇 차례 수정을 거쳐 2012년 5월부터 0.8%로 올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1월 피자헛에 과징금 5억2천여만원을 부과하며 시정명령을 내렸다. 피자헛은 이 결정에 불복해 서울고법에 소송을 냈으나 지난달 패소했다. 공정위 심결(심의의결)은 1심 재판의 기능을 대신한다. 이에 불복할 경우 1심 법원이 아닌 서울고법의 판단을 받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