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방안 중 하나로 탄천 지하보도 통로 5곳에 해피송 클래식 음악 장비를 설치했다.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란 도시 환경을 바꿔 범죄를 방지하고 주민 불안감을 줄이는 기법으로 어두운 골목길에 CCTV 와 가로등을 설치하거나 외진 곳의 담벼락을 없애 주민들의 자연 감시가 이뤄지도록 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24시간 음악 방송 서비스로 지하보도 이용자들이 슈베르트 세레나데, 베토벤 소나타 등 클래식 선율 속을 걸을 수 있게 했다. 우범지대로 전락하기 쉬운 지하보도에 안정감을 주는 음악을 틀어 범죄심리를 억제하기 위한 전략이다.
시는 분당경찰서 측이 범죄심리 억제 효과를 이유로 지하보도에 클래식 음악 송출을 요청해서 시범적으로 장비를 설치했다.
분당경찰서에 따르면 영국 런던시는 범죄가 빈번한 지하철역 중 한 곳인 엘름파크역에 클래식 음악 방송 후 18개월 동안 강도(33%), 승무원 공격(25%), 기물파손(37%) 등의 사건이 크게 줄었다. 미국 미네소타주의 미니애폴리스시도 경전철 정류장 근처에 노숙인과 청소년이 모여 소란을 떨자 클래식 음악을 방송했다. 방송 후 정류장 주변을 배회하던 청소년들이 떠났다.
경찰서 관계자는 “범죄진단예방팀에서 CCTV가 설치되지 않은 탄천 지하보도 통로를 범죄 취약지역으로 판단 범죄심리 억제 효과를 위해 클래식 음악을 틀게 했다”고 말했다.
클래식 음악 방송을 내보내는 탄천 1~5 지하보도 이용자는 한 곳당 하루평균 500여 명이다. 밤에 탄천으로 운동하러 나오는 주민과 야간 학습을 마치고 귀가하는 학생이 많다.
시는 탄천1~5지하보도에서 시행 중인 클래식 음악 방송에 대한 시민 반응이 좋고 추가 설치를 요구하는 여론이 많아 우선, 내정지하보도와 탑마을지하보도에 음악 장비를 추가로 설치했다. 그리고 오는 2019년도 말까지 분당지역에 있는 27곳 모든 지하보도에 ‘24시간 클래식 음악 방송 서비스’를 한다.
시 관계자는 “지하보도는 어두운 분위기라는 인식에서 이용이 안전하고 편한 곳이라는 인식으로 바뀔 것”이라면서 “클래식 음악 청취가 범죄 발생 감소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범죄 예방 효과와 함께 지하보도 이미지 쇄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