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NGO 등에 지역발전 저해 책임 물어 관련 단체들 ‘반발’
국립대학교 전 총장이 지역발전 저해 요인으로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를 지목해 논란이 일고 있다.시민·사회단체의 선동으로 각종 지역 사업이 무산되거나 지연됐다는 주장인데, 해당 단체들은 “궤변이다”며 반발하고 있다.
장명수 전 전북대학교 총장은 지난 28일 전라북도문화콘텐츠산업진흥원에서 열린 ‘전북 자존의 의미와 과제 정책 세미나’ 기조 발제를 맡았다.
그는 ‘전북 자존, 희망 세우기’라는 주제로 지역 역사와 국토·경제 발전에서의 홀대론을 역설했다.
장 전 총장은 발언 도중 “전북의 발전 부진을 남의 탓으로 돌릴 수만은 없다”며 “김제공항 건설 반대와 전주·완주 통합반대는 주민 스스로가 발목을 잡은 예이고, 부안 방사성폐기물 처리장은 외부적 타의로 무산됐다”고 말했다.
이어 “부안 방폐장은 정부 지원이 큰 만큼 지역발전에는 획기적 도움이 될 만했다”며 “그런데도 민주노총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민주언론시민연합,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등 13개 환경·정치단체가 ‘기형아가 나온다’, ‘모두 암에 걸린다’는 유언비어를 퍼뜨려 부안 발전을 100년 후퇴시켜 버렸다”고 비난했다.
새만금 개발 지연을 두고도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비난을 이어갔다.
장 전 총장은 “환경단체는 환경보전을 슬로건으로 정치 단체화해 끊임없이 (새만금 사업을) 헐뜯고 방해했다”며 “이들은 환경보전을 앞세워 정치투쟁으로 명분과 실리를 얻으려는 속셈이었고 이미 이득을 거뒀다”고 주장했다.
발제를 들은 시민·사회단체는 불쾌함을 감추지 않았다.
이정현 전북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장 전 총장의 주장은 개발론자의 편협한 시각에서 본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맹목적 비난”이라며, “왜곡한 지역발전 프레임으로 주민 편 가르기를 유도하는 시도를 중단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윤종광 민주노총 전북본부장도 “문재인 정부도 원전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논의를 하는 상황에서 장 전 총장의 발언은 시대를 역행하는 궤변”이라며 “시민·사회단체의 건전한 개혁과 주장까지 비난하는 저의가 의심스럽다”고 질타했다.
이에 장 전 총장은 “부안 방폐장이나 새만금이나 시민·사회단체의 훼방으로 중단되거나 지연됐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며 “지역발전을 위해 한 발언인데 불만이나 반론이 있다면 언제든지 토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