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커홀릭 줄고 ‘욜로’ 늘고… 국민 43%만 “일이 우선”

워커홀릭 줄고 ‘욜로’ 늘고… 국민 43%만 “일이 우선”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11-07 23:16
수정 2017-11-08 02: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P 줄어… 50%대 처음 깨져

42.9% “가정·일 모두 중요” 응답
소비생활 만족도 20대 가장 높아
기부경험자 3.2%P 줄어 26.7%

지금 이 순간을 즐기자는 신조어 ‘욜로’(YOLO·You only live once)는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17 사회조사 결과’에도 잘 투영돼 있다. “가정보다는 일이 우선”이라는 응답자가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졌다.

국내와 해외를 가리지 않고 여행을 가는 사람들도 꾸준히 늘고 있다.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응답자도 소폭이나마 증가했다.

“일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통계청이 관련 항목을 조사하기 시작한 2011년 54.5%였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43.1%로 10.6% 포인트나 줄었다. “가정과 일 모두 중요하다”는 응답은 42.9%, “가정이 우선”이라는 응답은 13.9%를 차지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각각 8.5% 포인트, 2.0% 포인트 증가했다.

●30대부터 가정 중시 인식 높아져

연령별로 보면 취업 고민이 많은 20대(19~29세)는 가정보다는 일이 우선(51.2%)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지만 30대가 되면 39.2%만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 40대는 일을 우선(43.7%)하는 응답과 일과 가정 모두 중요하다는 응답(43.9%)이 비슷하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맞벌이·육아 지원 등 일·가정 양립 제도가 강화되면서 의식 변화로 이어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의식주·여가·취미생활 등을 포함해 전반적인 소비생활에 만족한다는 응답자는 15.4%로 2년 전보다 1.5% 포인트 늘었다. 20대의 소비생활 만족도가 18.4%로 가장 높았다. 소득이 높을수록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아지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다. 통계청은 “저축보다는 소비를 중시하는 젊은층의 욜로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지난 1년간 국내 여행을 다녀왔다는 답변은 70.6%였고 해외여행도 26.5%였다. 2년 전과 비교하면 국내여행은 3.9% 포인트, 해외여행은 6.8% 늘었다. 특히 해외여행은 가족·친지 방문과 업무 목적은 줄어든 반면 관광은 늘었다.

●중산층 셀프 인식 1.1%P 늘어 57.6%

자신을 중산층으로 여기는 응답자는 57.6%로 2년 전(56.5%)보다 1.1% 포인트 늘었다. 하지만 기부는 갈수록 팍팍해졌다. “기부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26.7%로 2년 전(29.9%)보다 감소했다. 기부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도 같은 기간(45.2%→41.2%) 줄어들었다. 스스로의 인식과 달리 실제 삶의 여유가 늘지 않은 탓도 있겠지만 ‘어금니 아빠’ 사례에서 보듯 기부금이 제대로 쓰이는지에 대한 불신 등이 커진 탓도 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60세 이상 도와줄 사람 급감

나이가 들수록 사회적 관계망이 좁아지는 경향도 나타났다.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는 응답은 20대와 30대는 80%가 넘지만 50대와 60세 이상은 74.8%에 그쳤다. “급하게 목돈이 필요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다”는 응답 역시 20대는 65.2%, 30대는 62.9%였지만 50대는 43.9%, 60세 이상은 37.1%로 급감했다. “이야기 상대가 필요할 때 도움받을 사람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50대까지는 80%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지만 60세가 넘어가면 75.6%로 떨어졌다. 도와줄 수 있는 사람 숫자 역시 20대는 4.0명에서 60세 이상은 2.4명으로 줄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11-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