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에 잇따르는 황사는 발원지인 중국 서북부 지역의 여름·가을 강수량이 줄어든 탓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기상청은 중국 북부와 고비 사막에서 발원한 황사가 기압골 후면의 북서 기류를 따라 남동진하면서 10일 밤부터 11일 사이에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9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 전국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겠으나 국외 미세먼지와 황사의 영향을 받아 밤부터 농도가 높아진다”고 관측했다.
지난 8일에도 2일 전 중국 네이멍구 고원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를 덮쳐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 PM10 농도가 ‘나쁨’(81~150㎍/㎥)으로 치솟았다.
11월 서울에 황사가 관측된 것은 2000년 이후 올해로 여섯 번째다. 가을 황사는 점차 증가하는 모습이다. 1960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에 황사가 총 158회 관측됐는데 이 중 가을(9~11월) 황사는 3회(1.9%)에 불과했다. 반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에 나타난 황사 177회 중 가을 황사는 11회(6.2%)로 크게 늘었다. 신범철 국립기상과학원 연구사는 “올해 중국 네이멍구 고원이나 고비 사막에 비나 눈이 적게 내리면서 황사 발생량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기상청은 중국 북부와 고비 사막에서 발원한 황사가 기압골 후면의 북서 기류를 따라 남동진하면서 10일 밤부터 11일 사이에 한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9일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10일 전국 미세먼지 농도는 대체로 ‘보통’ 수준을 나타내겠으나 국외 미세먼지와 황사의 영향을 받아 밤부터 농도가 높아진다”고 관측했다.
지난 8일에도 2일 전 중국 네이멍구 고원에서 발원한 황사가 우리나라를 덮쳐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미세먼지 PM10 농도가 ‘나쁨’(81~150㎍/㎥)으로 치솟았다.
11월 서울에 황사가 관측된 것은 2000년 이후 올해로 여섯 번째다. 가을 황사는 점차 증가하는 모습이다. 1960년부터 1999년까지 서울에 황사가 총 158회 관측됐는데 이 중 가을(9~11월) 황사는 3회(1.9%)에 불과했다. 반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에 나타난 황사 177회 중 가을 황사는 11회(6.2%)로 크게 늘었다. 신범철 국립기상과학원 연구사는 “올해 중국 네이멍구 고원이나 고비 사막에 비나 눈이 적게 내리면서 황사 발생량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11-1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