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공학계열 미취업자 비율, 예체능·사회계열보다 더 많아 여성 박사가 더 취업난…‘박사’ 타이틀 무색 수도권 박사가 비수도권 박사보다 취업률 낮아
가방끈이 길어도 좁은 취업문을 뚫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5명 중 1명은 실업자로 조사됐다. 조사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수도권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4명 중 1명은 구직 활동을 했지만 직장을 구하지 못했다.
수도권 대학 박사 4명 중 1명이 실업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수도권 대학 박사 4명 중 1명이 실업자
“가방끈 길어도...” 수도권 박사 4명 중 1명은 실업자 청년 실업률. 서울신문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가방끈 길어도...” 수도권 박사 4명 중 1명은 실업자
청년 실업률. 서울신문DB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7년 국내 신규 박사 학위취득자조사 결과 올해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들 중 미취업자는 22.9%에 달했다. 미취업자의 비율은 첫 조사 때인 2014년 21.3%에서 2015년 20.3%, 2016년 21.6%로 올해가 가장 높았다. 사상 최악의 청년실업이 ‘박사’ 타이틀마저 무력화시킨 셈이다. 직장을 구하지 못한 불안감을 해소하려 적을 두고 공부하는 석·박사가 늘고 있다는 세간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는 해석까지 나온다.
이 조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조사연도 2월과 전년 8월 국내 200여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다. 올해 응답자는 전체 취득자의 약 70% 수준인 9050명이었다. 올해 기준 조사 당시 취업 중인 박사는 43.4%, 취업 확정은 30.9%였다.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박사도 2.8%나 됐다.
여성의 미취업률이 남성보다 높았다. 미취업 남성 박사의 비율은 21.2%였지만, 미취업 여성 박사는 25.9%였다.
나이가 젊을수록 미취업률이 높았다. 30세 미만의 미취업은 35.4%로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어 30∼34세 32.9%, 35∼39세 26.2%, 40∼44세 14.3%, 45∼49세 11.6%, 50세 이상 12.9%였다.
이미지 확대
“박사도 취업이 안되는데” 지난 9월 13일 오후 동대문 DDP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현장면접을 기다리던 취업준비생들이 구두를 벗고 서 있다. 그날 통계청은 청년실업률이 8월 기준 1999년 이후 최고치였고 체감실업률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사도 취업이 안되는데”
지난 9월 13일 오후 동대문 DDP에서 열린 ’금융권 공동 채용박람회’에서 현장면접을 기다리던 취업준비생들이 구두를 벗고 서 있다. 그날 통계청은 청년실업률이 8월 기준 1999년 이후 최고치였고 체감실업률도 2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발표했다. 연합뉴스
이공계열 출신이 취업이 잘 된다는 말도 옛말이 됐다. 자연과 공학계열 전공자들의 미취업률은 예체능이나 사회계열보다 더 높았다.
가장 미취업자의 비율이 높은 계열은 자연계열로 전체 박사학위 취득자의 29.7%였다. 인문(28.4%), 공학(26.1%), 예술·체육(22.3%), 교육·사범(20.6%), 사회(18.3%), 의약(11.8%) 순이었다.
특히 수도권에서 학위를 취득한 박사가 비수도권 박사보다 취업률이 낮았다. 수도권 박사의 미취업률은 24.1%로, 비수도권 박사 21.5%보다 높았다.
더욱이 올해 수도권 박사의 구직난은 2년 전 20.1%에서 4% 포인트나 뛰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