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바이러스 유전자 변형 추정…전파 속도·증상 심한 고병원성
올겨울 처음으로 국내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전 세계적으로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로 확인됐다. 겨울 철새가 옮긴 것으로, 토착화된 AI는 아니라는 의미다.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17일 전북 고창군 오리 농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의 유전형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유럽에서 유행한 ‘H5N8’형과 2014년 유럽에서 발견된 저병원성 ‘H3N6’형이 재조합된 ‘H5N6’형으로 확인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러한 신종 H5N6형은 세계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H5N6형 AI가 343건 발생해 세계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았지만 이번에 나온 유전형은 과거 국내에서 유행했던 바이러스와는 특성이 다르다는 것이다. 박봉균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은 “지난해 국내에서 발생한 H5N6형과 비교하면 H5형은 93%, N5형은 84% 정도밖에 일치하지 않는다”면서 “반면 지난해 네덜란드 홍머리오리에서 분리된 H5N8형과는 99% 이상, 2014년 네덜란드 흰뺨기러기에서 분리한 H3N6형과는 97% 이상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AI에 감염된 철새의 바이러스가 야생조류, 사람, 차량 등을 통해 농장 안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는 고병원성인 만큼 가금류 전파 속도나 증상이 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박 본부장은 “유전자가 새로 조합된 초기 바이러스인 만큼 숙주인 조류 안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 양이 많지 않아 초기 발견이 어려울 수 있어 방역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11-28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