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기 등 수도권과 충북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수준으로 올라 외부 활동에 주의가 요구된다.
서울 상공에 뿌연 미세먼지층이 형성된 모습.
서울신문 DB
15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현재 경기 지역의 PM2.5 일평균 농도는 ㎥당 57㎍(마이크로그램)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서울(52㎍/㎥)과 충북(53㎍/㎥)도 일평균 농도가 50㎍을 넘어섰다.
국립환경과학원은 PM2.5의 농도 등급(㎍/㎥·일평균)을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 나쁨’(101 이상)의 4단계로 구분하는데, 이들 지역 모두 ‘나쁨’ 수준까지 오른 셈이다.
경기 양주시 백석읍(143㎍/㎥)과 서울 도봉구(100㎍/㎥)는 한때 PM2.5 농도 최곳값이 100㎍/㎥를 넘어섰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국내 미세먼지가 대기 정체로 확산하지 못해 농도가 높아졌다”면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곳에는 약한 안개도 낀 상태라 실제 수치보다 더 대기 상태가 나빠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저녁부터 내일(16일) 새벽 사이에는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내일 오후부터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들어오면서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서울신문 DB
서울 상공에 뿌연 미세먼지층이 형성된 모습.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국립환경과학원은 PM2.5의 농도 등급(㎍/㎥·일평균)을 ‘좋음’(0∼15), ‘보통’(16∼50), ‘나쁨’(51∼100), ‘매우 나쁨’(101 이상)의 4단계로 구분하는데, 이들 지역 모두 ‘나쁨’ 수준까지 오른 셈이다.
경기 양주시 백석읍(143㎍/㎥)과 서울 도봉구(100㎍/㎥)는 한때 PM2.5 농도 최곳값이 100㎍/㎥를 넘어섰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국내 미세먼지가 대기 정체로 확산하지 못해 농도가 높아졌다”면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곳에는 약한 안개도 낀 상태라 실제 수치보다 더 대기 상태가 나빠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저녁부터 내일(16일) 새벽 사이에는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만, 내일 오후부터는 차가운 북풍 계열의 바람이 들어오면서 해소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