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설·한파에 낙상 주의보
서울지역 3일 새 105건 신고장갑·모자 등 착용 사고 예방
서울에 사는 회사원 박모(41)씨는 지난 19일 밤 귀가하던 중 비탈길에서 크게 넘어졌다. 매서운 추위 때문에 두 손을 주머니에 넣은 채 걷다가 빙판을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박씨는 오른손을 급하게 빼며 중심을 잡으려 했지만 오른쪽 골반이 그대로 바닥에 부딪치면서 큰 통증을 느꼈다. 인근 병원으로 이송된 박씨는 손목 골절과 골반근육 파열로 전치 4주 진단을 받았다.
지난 20일 서울에 사는 최모(38·여)씨도 스마트폰 메신저로 친구와 대화하며 걷다가 얼어붙은 눈덩이에 걸려 넘어졌다. 두 손으로 스마트폰을 잡고 있던 탓에 땅바닥에 고꾸라져 안면과 팔꿈치 골절로 전치 4주 진단을 받았다.
최근 영하 10도를 웃도는 강추위가 이어지면서 빙판길 낙상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25일 서울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 20일 하루 동안 서울 지역에서만 43건의 낙상 사고가 접수됐다. 한파가 몰아친 18~20일 사흘 동안에만 빙판길에 미끄러져 부상을 당한 사고가 105건이나 됐다.
서울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최근 내린 눈이 강추위에 얼어붙어 보행로가 미끄러워지면서 낙상 사고가 급증하고 있다”면서 “특히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빙판길 낙상 사고 신고 건수가 늘었다”고 말했다.
소방 당국은 빙판길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해 장갑을 끼는 게 좋다고 강조했다. 서울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양손을 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넘어지면 몸이 바닥에 충돌해 피해가 커질 수 있다”면서 “빙판길 위를 걸을 때만이라도 두 손을 빼서 중심을 잡고 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폭을 작게 하는 것 역시 낙상 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 보폭을 작게 하면 무게중심이 몸쪽에 있어 보다 안전하게 걸을 수 있다. 모자와 배낭은 넘어지더라도 머리와 허리, 엉덩이를 보호해 큰 부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 관계자는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모자를 착용하고 작은 보폭으로 걷기 등을 일상화해야 한다”면서 “초겨울 한파가 내년 1월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니 안전사고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도 주의해야 한다. 조현기 정형외과 전문의는 “겨울철 빙판길 스마트폰 사용은 음주운전만큼 위험하다는 것이 의료계의 대체적인 시각”이라면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빙판길 낙상 사고는 시각이 스마트폰에 집중돼 상대적으로 큰 부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7-12-2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