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참사 잊기엔 너무 큰 고통…트라우마 호소 600여건

제천 참사 잊기엔 너무 큰 고통…트라우마 호소 600여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25 09:55
수정 2018-01-25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족·부상자·소방관 “악몽 아직도 잊혀지지 않아”

29명이 숨진 충북 제천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유가족과 부상자·소방관은 물론이고 이웃의 참변을 지켜봐야 했던 주민들도 여전히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현장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현장
24일 제천시에 따르면 참사가 발생한 작년 12월 21일부터 지난 23일까지 한 달여간 시가 운영하는 심리안정지원팀의 심리 치료·상담 건수가 600건을 넘어섰다.

대면 상담이 412건으로 가장 많았고, 정보 제공 180건, 전화 상담 등이 94건이었다.

극단적인 스트레스에 시달려 하루에 한 번꼴로 심리안정지원팀을 찾아 상담을 받은 피해자도 적지 않다.

사랑하는 가족을 황망하게 세상으로 떠나보낸 유가족들의 고통이 가장 크다.

한 유족은 “밤이면 잠을 못 자고 밖으로 달려 나와 소리를 지르곤 한다”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STD·트라우마)를 호소했다.

트라우마란 극심한 외상성 스트레스 사건에 노출된 후 정신적, 생리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상태가 심한 경우 악몽이나 환각, 불면 증세 등을 겪기도 한다.

유가족과 부상자는 물론이고 참혹했던 현장에서 진화·구조활동에 나섰던 소방관들도 고통의 나날을 보내기는 마찬가지다.

소방관들은 초기 대응 부실 논란에 휩싸인 데다 경찰 수사까지 받는 상황이어서 사기도 크게 떨어져 있다.

제천소방서 관계자는 “참혹한 현장을 겪었던 참사의 트라우마에서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제대로 구조를 못 했다는 자책감 때문에 대원들의 정신적 고통이 더욱 크다”고 말했다.

사고 현장을 직접 목도했거나 변을 당한 유족들을 지켜보는 주민들의 정신적 충격도 여전하다.

참사가 발생한 하소동은 흉물스럽게 남아 있는 스포츠센터 건물 탓에 여전히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다.

제천의 대표적 신흥 상권이던 이 일대는 애도 분위기 속에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면서 영업을 중단한 채 문을 닫은 식당들도 많다.

한 시민은 “아직도 건물만 보면 누군가 갇혀 있다는 생각에 왈칵 눈물이 쏟아지고 가슴이 아프다”고 말했다.

제천시는 폐허가 된 스포츠센터 때문에 주민들의 고통이 더욱 크다는 판단에 따라 건물 처리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아예 가림막으로 건물 전체를 뒤덮어 버리자는 의견도 나왔다.

이런 의견과 관련, 이근규 제천시장은 지난 19일 시의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가림막 설치 방안을 전문업체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1일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 대형 화재로 29명이 숨지고, 40명이 다쳤다.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