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10년 새 4개 분야 환경성 질환자 1만명 넘어…구제기관 필요”
환경보건시민센터는 5일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를 사용해 건강피해가 우려되는 위험인구가 1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며 이들에 대한 건강영향 추적조사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방사능 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 매트리스가 28일 충남 천안시 대진침대 본사로 수거돼 쌓여 있다. 연합뉴스
그러면서 “라돈 침대 사태를 계기로 대기나 수질 등 환경이 오염됐을 때 피해를 본 사람들을 지칭하는 ‘환경오염 위험인구’의 개념에 ‘위해한 생활용품 사용자’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센터는 “‘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재발하는 것을 막으려면 환경성 질환 발생 즉시 피해자 현황을 파악하고 상담해주는 기관이 필요하다”며 ‘국가환경독성센터’(가칭)를 만들어 생활화학제품 피해자 구제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최근 10여 년간 국내에서 가습기 살균제, 석면, 시멘트공장, 연탄공장의 영향으로 환경성 질환을 얻은 피해자는 1만810명에 이르며 이 가운데 2천496명(23%)은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센터는 밝혔다.
분야별 피해자 수는 가습기 살균제가 6천22명(56%)으로 가장 많았고, 석면 3천17명(28%), 시멘트공장 1천763명(16%), 연탄공장 8명(0.07%)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