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환자 이송 중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소방헬기가 사고 나흘만인 3일 오후 2시 4분 청해진함 갑판으로 인양돼 내부를 수색했으나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수색 당국은 이날 해군 청해진함 갑판으로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 동체를 인양한 뒤 내부를 수색했지만 실종자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추락 헬기가 인양된 것은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지 62시간여 만이다.
앞서 수색 당국은 지난 2일 헬기 동체 안에서 1구를, 동체에서 각 110m와 150m가량 떨어진 곳에서 시신 2구 등 모두 시신 3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동체 밖에서 발견된 시신 2구는 전날 밤 오후 9시 14분 심해잠수사 포화 잠수를 통해 동시에 인양·수습한 뒤 가족의 품으로 인계했다.
하지만 애초 발표한 ‘동체 내 시신 1구’도 내부에서 찾지 못해 영상 판독오류인지, 인양 중 유실인지 확인하고 있다. 수색 당국은 “동체 내 시신 1구는 헬기 구조물에 가려져 명확한 확인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라며 “동체 인양 과정에서 유실된 것인지, 무인잠수정을 통한 판독에 오류가 있었던 것인지 확인하는 한편 추가 수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수색 당국은 이날 해군 청해진함 갑판으로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EC225 헬기 동체를 인양한 뒤 내부를 수색했지만 실종자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추락 헬기가 인양된 것은 독도 인근 해상에서 추락한 지 62시간여 만이다.
앞서 수색 당국은 지난 2일 헬기 동체 안에서 1구를, 동체에서 각 110m와 150m가량 떨어진 곳에서 시신 2구 등 모두 시신 3구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동체 밖에서 발견된 시신 2구는 전날 밤 오후 9시 14분 심해잠수사 포화 잠수를 통해 동시에 인양·수습한 뒤 가족의 품으로 인계했다.
하지만 애초 발표한 ‘동체 내 시신 1구’도 내부에서 찾지 못해 영상 판독오류인지, 인양 중 유실인지 확인하고 있다. 수색 당국은 “동체 내 시신 1구는 헬기 구조물에 가려져 명확한 확인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라며 “동체 인양 과정에서 유실된 것인지, 무인잠수정을 통한 판독에 오류가 있었던 것인지 확인하는 한편 추가 수색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