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0년 만에 첫 2명대 진입…배달문화 영향 이륜차 사망 30%↑
지난해 서울 지역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국내 최초로 10만명당 2명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집계 통계를 시작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치다.서울지방경찰청은 지난해 서울 지역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246명으로 전년 대비 54명(18.0%) 감소했다고 16일 밝혔다. 사망자 수는 2015년 372명에서 2016년 345명, 2017년 335명, 2018년 300명으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서울 지역 인구 10만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역시 전년도 3.0명에서 2.4명으로 줄었다. 서울을 포함한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2명대로 진입한 건 처음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보행 중 사망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144명으로 전년 185명보다는 22.2% 줄었다. 이 가운데 노인 보행자는 73명으로 전년 97명보다 24.7% 줄었다. 사업용 차량에 의한 사망자도 87명으로 지난해보다 31명(26.3%) 감소했다. 다만 이륜차 사망자는 총 70명으로 전년 대비 16명(29.6%) 증가했다. 배달문화 확산으로 배달업 종사자 사망(15명→23명)이 늘어나는 등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지역별로는 송파구(26명→13명), 영등포구(22명→11명), 노원구(14명→7명) 순으로 전년 대비 전체 사망자가 감소했다. 반면 서대문구(5명→14명), 강서구(11명→19명), 성동구(9명→13명) 순으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많았다.
서울청 관계자는 “사람이 먼저인 보행자 중심 교통사고 예방 정책을 꾸준히 추진할 계획”이라면서 “올해도 교통약자인 어린이·노인 등 소중한 생명 살리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20-01-17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