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사설학원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휴원대책을 정부와 보건당국에 마련해 줄 것을 촉구했다.
대구지역 4200여개 학원 대표들로 구성된 대구학원총연합회는 13일 오전 대구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시책에 따라 휴원을 하는 대구 학원교육 현장이 붕괴 직전에 이르러 학원인들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휴원이 장기화하면서 강사 인건비, 건물임대료, 각종 공과금 등이 온전히 학원장 부담으로 남아 영세 학원은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지경”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학원 강사의 최소 생계비를 정부가 직접 지원할 것과 휴원 학원에 대한 저금리 대출 지원을 요구했다.
또 학원 등 지역 시설에 대한 방역 봉사 활동에 나설 예정인 ‘학원 방역봉사단’에 소독약, 분무기, 방역복 등 방역 물품을 지원해줄 것도 호소했다.
대구지역 학원들은 지난달 20일부터 휴원에 들어가 월말 기준으로 98%가 문을 닫았다. 현재도 94%의 휴원율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회는 “정부 방침에 따라 휴원에 적극 동참한 학원들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보상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대구지역 4200여개 학원 대표들로 구성된 대구학원총연합회는 13일 오전 대구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 시책에 따라 휴원을 하는 대구 학원교육 현장이 붕괴 직전에 이르러 학원인들이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휴원이 장기화하면서 강사 인건비, 건물임대료, 각종 공과금 등이 온전히 학원장 부담으로 남아 영세 학원은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지경”이라고 호소했다.
이어 학원 강사의 최소 생계비를 정부가 직접 지원할 것과 휴원 학원에 대한 저금리 대출 지원을 요구했다.
또 학원 등 지역 시설에 대한 방역 봉사 활동에 나설 예정인 ‘학원 방역봉사단’에 소독약, 분무기, 방역복 등 방역 물품을 지원해줄 것도 호소했다.
대구지역 학원들은 지난달 20일부터 휴원에 들어가 월말 기준으로 98%가 문을 닫았다. 현재도 94%의 휴원율을 유지하고 있다.
연합회는 “정부 방침에 따라 휴원에 적극 동참한 학원들에 대해 그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보상을 마련해달라”고 당부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