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유원 한국학원총연합회장이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한국학원총연합회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발표 기자회견에서 기자회견문을 낭독하고 있다. 2020.3.25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가 휴원을 강요하고 있지만 서울 시내 학원·교습소의 85%가 운영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전날(25일) 오후 2시 기준 서울 시내 학원·교습소 2만5231곳 중 3889곳만 휴원했다. 문 닫은 학원이 전체의 15.4%에 불과하다.
지난 23일 11.2%보다는 4.2%p 늘었지만 지난주 금요일(20일) 26.8%에 비해서는 눈에 띄게 줄었다.
마포·서대문·은평구의 학원 휴원율이 9.7%로 가장 낮았다. 강동·송파구는 11.8%, 강남·서초구도 13.1%에 불과했다.
학원 휴원율이 20%를 넘은 지역이 동대문·중랑구(24.5%) 동작·관악구(28.1%) 두 곳밖에 없었다.
정부와 서울시가 PC방, 노래방과 함께 학원도 다음달 5일까지 운영 중단을 권고하고, 영업을 계속할 경우 필수방역지침을 준수하는지 현장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지만 효과가 미미한 셈이다.
학원 측은 “학원은 교습비가 들어오지 않으면 곧바로 재정적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며 “한 달 넘는 휴원으로 고사 직전”이라는 입장이다.
앞서 한국학원총연합회는 25일 서울 용산구 연합회 건물에서 코로나19 대책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휴원으로 인한 손실을 정부가 보전해 줄 것을 호소했다. 이들은 또 방역지침을 지키지 않는 학원에 대해 행정명령을 내릴 수 있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며 반발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