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필 전 라임자산운용 부사장. 연합뉴스
라임의 투자를 총괄한 이 전 부사장은 라임의 부실 자산을 은폐하고 수익률을 조작한 장본인으로 지목된 상태다.
라임 사태를 수사하는 서울남부지검 형사6부(부장 조상원)는 이달 이 전 부사장에 대해 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했다고 26일 밝혔다.
적색수배는 체포영장이 발부된 중범죄 피의자에게 내리는 국제수배로, 적색수배가 내려지면 인터폴 회원 190여개국 어디에서든 피의자 신병이 확보될 경우 수배국가로 강제 압송된다.
검찰 관계자는 “이 전 부사장이 외국으로 도주한 사실이 확인돼 한 조치가 아니라 이 전 부사장이 외국으로 도주했을 경우를 대비해 한 조치”라면서 “현재까지 이 전 부사장이 외국으로 도주한 사실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전 부사장은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사인 코스닥 상장사 ‘리드’의 횡령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하지만 구속 전 피의자심문(영장실질심사)을 앞두고 잠적한 뒤로 아직까지 소재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라임은 한때 리드의 최대주주였다. 리드의 실소유주인 김모(54) 회장은 평소 주변 사람들에게 이 전 부사장과의 친분을 과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라임 사태 수사로 인터폴 적색수배를 요청한 인물은 이 전 부사장을 포함해 총 3명이다. 한 명은 부동산 사업 시행사 메트로폴리탄의 김모(47) 회장이다. 메트로폴리탄은 라임이 펀드 자금 2500억원을 투자한 회사다. 김 회장은 이 중 2000억원을 해외로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다른 1명의 신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경찰은 이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적색수배가 발령됐다고 밝혔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