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국민 1000명 인식조사

88.5%는 차별금지법 제정 찬성
국민 10명 중 9명이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자신도 차별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는 비율이 90%에 육박했다.
23일 국가인권위원회는 ‘2020년 차별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결과에 따르면 조사 대상 1000명 중 91.1%의 응답자가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나도 언제든 차별의 대상이나 소수자가 될 수 있다’는 생각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아주 많이 했다’가 19.8%, ‘조금 했다’ 53.2%, ‘지금 그런 생각이 든다’ 18.1%였다. ‘전혀 없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8.9%에 불과했다. ‘나도, 내 가족도 언젠가 차별을 당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90.8%였다.
인권위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전 세계에서 벌어진 혐오와 차별 사례를 접하면서 차별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민감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차별·혐오 대상이 된 집단이 어디인지 복수로 물어본 결과 종교인이 59.2%로 가장 높았고, 특정 지역 출신이 36.7%, 외국인·이주민이 36.5% 등이었다.
우리 사회의 차별 문제 심각성을 묻는 질문에는 82.0%가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가장 심각한 차별로는 ▲성별 ▲고용 형태 ▲학력·학벌 ▲장애 ▲빈부격차 등이 꼽혔다. 지난 1년 동안 실제로 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27.2%였다.
차별을 받은 이유(복수 응답)로는 성차별(48.9%)과 연령에 대한 차별(43.4%)이 가장 많았고, 경제적 지위(23.9%), 학력(21.3%) 등이 뒤를 이었다. ‘성소수자도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한 존재’라고 응답한 비율은 73.6%였고, ‘여성, 장애인, 아동, 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응답 비율도 92.1%로 조사됐다.
학교에서의 인권 교육 강화, 국민인식 개선 교육 강화 등 각 차별 시정 정책에 대해 찬성·반대 여부를 물은 결과 ‘차별금지 법률 제정’에 88.5%가 찬성 의견을 밝혔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20-06-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