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대 오른 기상청 “태풍 ‘마이삭’ 상륙지점, 부산·거제 사이” 美·日 “더 서쪽”(종합)

시험대 오른 기상청 “태풍 ‘마이삭’ 상륙지점, 부산·거제 사이” 美·日 “더 서쪽”(종합)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20-09-02 12:31
수정 2020-09-02 1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장 장마에 서쪽으로 튼 태풍 바비까지 기상청 신뢰도 논란, 마이삭 이동경로 맞을지 관심

기상청 “태풍 ‘매미’와 경로 가장 비슷”
美 기상청, 2002년 ‘루사’ 경로 예보
기상청 “기상청 시나리오대로 갈 것”
이미지 확대
태풍 ‘마이삭’의 위력
태풍 ‘마이삭’의 위력 2일 제주가 북상하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영향권에 접어든 가운데 이날 오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2리 앞바다에 집채보다 더 큰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2020.9.2 연합뉴스
기상청이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이동 경로를 놓고 다시 한번 예보 신뢰도가 시험대에 올랐다. 기상청은 앞서 역대 최장기간 장마와 직전 태풍 ‘바비’ 예보가 다소 엇나가면서 질타를 받았다. 특히 기상청과 해외 주요 기관의 마이삭 이동경로가 차이가 나면서 어느 쪽이 맞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상청은 마이삭이 2일 저녁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하루 뒤인 3일 새벽 경남 남해안에 도착해 동쪽 지방을 거쳐 같은 날 아침 동해 중부 해상으로 빠져나갈 것으로 분석했다. 이후 태풍은 북한에 다시 상륙한 뒤 중국 청진 서북서쪽 육상으로 올라가 점차 소멸하겠다고 전망했다.

우리나라에 상륙하는 구체적인 지점은 거제에서 부산 사이로 예측했다.

이대로 간다면 마이삭은 기상청이 말한대로 역대 2위의 재산 피해를 낳은 2003년 태풍 ‘매미’와 유사한 경로를 밟게 된다.

기상청은 전날 브리핑에서 마이삭의 예상 이동 경로는 역대 2위의 재산 피해를 낳은 2003년 태풍 ‘매미’와 가장 비슷하고, 직전에 발생한 제8호 태풍 ‘바비’보다 셀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마이삭은 이날 오전 11시 현재 제주 서귀포 남쪽 약 310㎞ 해상에서 시속 19㎞로 북진하고 있다.
태풍 마이삭 경로
태풍 마이삭 경로 오전 10시 기준 태풍 ‘마이삭’ 이동 경로.
기상청 제공 2020-09-02
美예보 “한국 중앙 관통할 것”
태풍 ‘매미’ 아닌 ‘루사’ 경로
日기상청 “전남과 경남 사이로 상륙”

하지만 미국, 일본 등 해외 주요 기상 관련 기관은 기상청보다 약간 서쪽으로 더 치우친 경로를 예보했다.

미국태풍경보센터(JTWC)가 1일 오후 9시(현지시간) 발표한 마이삭의 예상 이동경로를 보면 여수와 남해 사이로 들어오는 것으로 돼 있다.

JTWC는 이후 마이삭이 우리나라 ‘중앙’을 관통해 북한을 거쳐 중국으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역대 가장 많은 재산 피해를 초래한 2002년 태풍 ‘루사’에 더 가까운 경로로 주로 영남지역과 동해안 인근 도시를 지나는 기상청의 예상 경로와 달리 수도권이 직접적인 위험 반경에 들며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또 일본 기상청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예보에서 마이삭이 전남과 경남 사이로 들어와 동해안을 빠져나가는 경로를 예상했다. 우리나라 기상청과 JTWC 예측의 중간 정도가 된다.
이미지 확대
마이삭 강풍에 세차게 도는 바람개비
마이삭 강풍에 세차게 도는 바람개비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이 북상 중인 2일 오전 제주 서귀포시 온평리 해안가에 있는 바람개비가 세차게 돌아가고 있다.

태풍 마이삭은 이날 오후 3시쯤 강도 ‘강’으로 다소 세력을 줄인 뒤 오후 7시쯤 서귀포시 동남동쪽 140㎞ 해상, 오후 8시쯤 제주시 동남동쪽 150㎞ 해상을 지날 것으로 보인다.2020.9.2/뉴스1
이미지 확대
포항 동빈내항 메운 어선
포항 동빈내항 메운 어선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북상하는 가운데 2일 경북 포항 동빈내항에 어선이 가득 세워져 있다. 2020.9.2 연합뉴스
기상청 “태풍 가장 강한 수준서
서편 가능성 약해” 해외 예보에 회의적
“경남 남해안 중 전남 해안에 더 가깝게 온다”

기상청은 전날 브리핑에서 “만약 태풍의 중심기압이 낮아지면서 강하게 발생할 경우 스스로 움직이면서 동진보다는 북진하는 성향이 커져서 경남 남해안 중 전남 해안 쪽에 보다 가깝게 상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 태풍이 가장 강한 수준에 이르러 조금씩 약해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서편 가능성은 약하다”고 덧붙였다.

마이삭의 중심기압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940h㎩이고 우리나라에 상륙할 즈음인 3일 오전 0시쯤에는 955h㎩로 높아질 전망이다.

서편 전망과는 반대로 태풍 북서쪽의 건조한 공기가 태풍을 보다 강하게 동쪽으로 밀어내면서 태풍이 오히려 조금 더 동편할 수도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현재로선 기상청의 시나리오대로 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다만 약간의 가능성은 열어놓고 실황을 바탕으로 추가 분석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미지 확대
제9호 태풍 ‘마이삭’ 북상
제9호 태풍 ‘마이삭’ 북상 제9호 태풍 ‘마이삭’이 북상하고 있는 1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도권기상청에서 예보관들이 태풍 경로 등 기상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2020.9.1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태풍에 제주공항 ‘올스톱’
태풍에 제주공항 ‘올스톱’ 2일 오전 북상하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영향으로 제주를 오가는 항공편이 모두 결항했다. 2020.9.2 연합뉴스
초속 40m 이상, 바위 날릴 세기
강원·경상 동해안, 제주산지 400㎜ 비
기상청은 태풍의 세기가 이날 오전까지 매우 강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오후 들어 초속 40m 전후의 강한 수준으로 다소 완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내륙에 상륙해 지나가는 만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수 있다.

마이삭으로 인한 예상 강수량은 강원 영동·경북 동해안·경남·전라 동부·제주도·울릉도·독도 100∼300㎜이다. 특히 강원 동해안·경상 동해안·제주도 산지에는 400㎜가 넘는 비가 쏟아질 전망이다.

예상 최대순간풍속은 제주도와 경상 해안 시속 108∼180㎞(초속 30∼50m), 강원 영동·남부지방(경상 해안과 전북 서부 제외) 시속 72∼144㎞(초속 20∼40m), 그 밖의 지방 시속 36∼108㎞(초속 10∼30m)다.

바람의 세기가 초속 40m가 넘으면 사람은 물론 큰 바위도 날려버리고 달리는 차도 뒤집어놓을 수 있다.

기상청은 “3일까지 전국이 태풍의 영향권에 들어 매우 강한 바람이 부니 시설물 관리와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해달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역대급 태풍 ‘마이삭’서귀포 해상에서 한반도로 북상 중
역대급 태풍 ‘마이삭’서귀포 해상에서 한반도로 북상 중 제9호 태풍 ‘마이삭(MAYSAK)’이 서귀포에 점점 가까워지면서 제주도 전 해상에 태풍특보가 발효됐다. 마이삭은 2일 저녁 제주도 동쪽 해상을 지나 하루 뒤인 3일 새벽 경남 거제와 부산 사이 지점에서 상륙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영남지역과 동해안 인근 도시들을 관통해 같은 날 오전 중 동해 중부 해상으로 빠져나갈 전망이다. 마이삭은 중심기압이 940헥토파스칼(h㎩), 최대풍속은 초속 47m에 달하는 ‘매우 강’ 태풍으로 발달한 상태다.

2일 오전 현재 마이삭이 서귀포 남쪽 부근 해상에서 시속 22㎞의 속도로 북진인 모습. 어스널스쿨 캡처. 2020.9.2/뉴스1
이미지 확대
태풍 ‘마이삭’의 위력
태풍 ‘마이삭’의 위력 2일 제주가 북상하는 제9호 태풍 ‘마이삭’의 영향권에 접어든 가운데 이날 오전 서귀포시 표선면 토산2리 앞바다에 집채보다 더 큰 파도가 몰아치고 있다. 2020.9.2 연합뉴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