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로또 운석 찾자”… SNS 달군 별똥별 목격담

“하늘의 로또 운석 찾자”… SNS 달군 별똥별 목격담

이천열 기자
이천열 기자
입력 2020-09-23 21:12
수정 2020-09-24 04: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쾅 하는 굉음과 함께 거대한 불꽃 봤다”
천문연구원 “크고 밝은 유성 ‘화구’ 포착
유성이 대기와 마찰로 폭발… 흔히 관측”

대구서 별똥별 추정 물체 관측
대구서 별똥별 추정 물체 관측 지난 22일 오후 대구 달서구 성서산업단지 인근에서 별똥별로 추정되는 물체가 하늘에서 떨어지는 모습이 한 차량 블랙박스에 담겼다. 밤사이 대구를 비롯한 세종시,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도 별똥별을 봤다는 목격담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쏟아졌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관련 제보를 받고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대구 연합뉴스
“운석 찾으러 갑시다. 찾으면 로또.”

23일 새벽 우리나라에 별똥별로 추정되는 큰 물체가 하늘에서 떨어졌다는 목격담이 잇따르면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돈 되는 운석을 찾으러 가자’는 수많은 글이 올라오는 등 ‘대형 별똥별’이 SNS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과학적으로 이날 새벽에 목격된 밝은 물체는 ‘화구’라고 밝혔다. 화구는 크고 밝은 유성(별똥별)을 말한다.

이날 대전의 한 시민은 “오전 1시 15분쯤 거대한 별똥별로 추정되는 물체를 봤다”면서 “갑자기 ‘쾅’ 하는 굉음도 들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또 경기 오산의 한 시민도 “가로등 불빛보다 더 큰 별똥별을 봤다”면서 “내 평생 처음”이라고 말했다. 각종 SNS에도 “경찰차 경광등처럼 빨강과 파랑 빛이 함께 있는 선명한 불꽃을 봤다”, “순간 밝아져서 저게 뭐지 하고 봤더니 거대한 별똥별이었다” 등의 목격담이 이어졌다.

또 시민들은 휴대전화로 찍은 사진이나 차를 타고 가다 블랙박스에 찍힌 별똥별 영상을 올리며 “당장 찾으러 가야 한다”고 했다. 운석은 ‘하늘의 로또’라고 불릴 정도로 가격이 비싸 운석을 전문적으로 찾는 ‘사냥꾼’이 있을 정도다. 하지만 운석을 찾을 확률 역시 로또만큼 낮다. 실제 국내에서 운석이 발견된 것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한국천문연구원 관계자는 “대전과학고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화구가 포착됐다”면서 “이 유성체는 대기권에 진입 후 낙하하는 동안 두 차례 폭발했고, 대전 기준 약 30도 북쪽에서 남쪽을 가로지르며 낙한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날 현상은 유성이 대기와의 마찰로 온도가 올라 폭발하며 흔히 관측된다”면서 “지구 위협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7월 일본의 밤하늘에서도 유성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화염 덩어리’가 관측됐다. 그 뒤 운석이 지바현 나라시노시에서 발견돼 화제가 됐다.

대전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20-09-24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