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스런 7선녀 가무… 3000년전 천제단서 선사유적 고유제천제 “눈길”

신비스런 7선녀 가무… 3000년전 천제단서 선사유적 고유제천제 “눈길”

이명선 기자
입력 2020-10-19 21:01
업데이트 2020-10-19 2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천시 고강본 선사유적보존위, ‘고리울선사문화제’ 21년째 민간 개최
청동기시대 귀중한 국보급 소도터로 전국 3곳뿐

부천시 고강동 봉배산에서 진행된 고리울선사유적 제천의례에서 칠선녀가 가무를 하고 있다.
부천시 고강동 봉배산에서 진행된 고리울선사유적 제천의례에서 칠선녀가 가무를 하고 있다.
“지금부터 고리울 선사유적고유제천례 봉행을 시작하겠습니다.”

사회자의 말에 천재가무단 7선녀의 가무가 시작됐다. 가무가 끝나자 7선녀는 천화대 주위에 반원으로 선 채 대표 한 사람이 쑥 점화봉을 인수하고 발화대에서 점화한 뒤 점화봉을 천화대로 옮겨 놓았다. 이어 풍물놀이 수장이 낮고 잦은 북소리에 이어 큰북소리를 4차례 쳤다.

경기 부천의 선사유적 고유제천의례가 지난 17일 고강동 봉배산(장기말산)의 청동기 시대 천제단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 일대는 청동기시대 유적지로 21채 집터가 발굴된 선사인의 취락지다.

19일 부천문화원에 따르면 총 7차례 발굴조사 중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1999년 4차조사 때 BC 10세기 전후 청동기시대 제사유적인 적석환구유구가 발굴된 것이다. 봉배산 능선 정상부에서 3000여년전 유적이 발굴됐는데 제단(祭壇)으로 판명됐다.

적석유구 규모는 남북 6m, 동서 6m의 평면 형태 방형이고, 환구유구는 적석유구 중심으로부터 환구유구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거리는 10m 가량으로 정형이다. 소형의 이중 구를 제외한 환구유구의 총연장 길이는 63m에 이른다.
부천시 봉배산에서 진행된 고강본 선사유적고유제례 중 축관이 축문을 읽고 있다.
부천시 봉배산에서 진행된 고강본 선사유적고유제례 중 축관이 축문을 읽고 있다.
이 유적은 대단히 귀중한 국가사적급 제단터다. 전국에서 청동기시대 유물과 유적이 많이 발굴됐지만 청동기시대 제단터는 경남 합천과 경기 안성 등 3곳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날 고강동 선사유적 고유제는 천태사상의 자연신에게 마을 수호와 주민의 영세평안을 기원하는 홍익인간 이념 제례로 도교식 의례로 치러졌다. 복식은 백의민족을 상징해 흰 도포와 두루마기·검은 띠를 두른 유건을 입는다.

고강동의 마을축제 명칭은 본래 ‘고리울한마당축제’였다. 그러다가 1995년 고강동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이후 2007년 제9회부터 명칭을 ‘고리울한마당축제’에서 ‘고리울선사문화제’로 바꿔 진행되고 있다.

김혜옥 부천시 고강본 선사유적보존위원회 위원장은 “우리 고리울 선사유적지에서 진행하는 고유제천의례는 21회째 내려오고 있다. 예전엔 이 의식을 마치고 나면 바로 마을축제로 이어졌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이번엔 마을주민과 부천시민들이 참여하지 않고 간소하게 치렀다”고 말했다.
부천시 고강동 봉배산 적석환구유구 발굴터.
부천시 고강동 봉배산 적석환구유구 발굴터.
또 김 위원장은 “여기 지명이 고리울인데 ‘오래된 마을’이라는 뜻이다. 왜 오래된 마을이라고 하는지 몰랐으나 경인고속도로 공사중 이 산에 폭우가 내려 유적지의 유물들이 흘러내리며 귀한 유적과 유물들이 발견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부천시관청 주도가 아닌 고리울주민들이 중심이 돼 천제단을 중심으로 매년 고유제천의례를 진행하고 있어 매우 뜻깊은 행사”라고 강조했다.

봉배산 유적은 한반도 초유의 마을중심부 환구유구제단으로 한양대학교 고고학 발굴단에 의해 밝혀져 고대사회의 풍습을 이해하는 데 지극히 중요한 국보급 유적자료로 알려졌다.

이 중 천신제의 상징인 적석환구유구가 있어 소도의 원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봉배산 일대 움집에서 살던 선사시대 주민들이 하늘을 향해 올렸을 것으로 여겨지는 천신제를 오늘날 의미로 재해석한 것이다.

이 지역 지명유래는 고음달리-고리울 강장골-고강동으로 명명돼 왔다. 장기말산의 유래는 떠오르는 태양을 제사지내는 깨끗한 곳터 마을산을 뜻한다. 비에 새겨져 있는 글이다.

고리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유물은 1995년 여름 홍수로 인해 마을 뒷산을 걷던 시민이 발견해 부천시청에 신고하면서 알려졌다.

당시에 반월형석도·석창 등 대단히 정교하게 가공된 석기들이 대거 출토됐다.

주민이 신고한 유물은 반월형돌칼·돌창·돌끌·돌도끼·숫돌·돌창조각으로 모두 마제석기류였다. 반월형돌칼은 벼나락을 훑는 농기구이고, 돌끌은 땅을 파는 농기구다. 이러한 유물들은 이때까지 부천에서 발견된 예가 없었던 선사시대 유물들이었다.

글·사진 이명선 기자 ms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