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정보 경로, 유튜브 70% 개인방송 65.8% “지인에게 내용 알리려고 전달” 응답 가장 높아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신문 DB
뉴스 소비자들은 ‘가짜뉴스’로 불리는 허위정보를 주로 유튜브 등 온라인 동영상에서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짜뉴스를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이유로 ‘흥미’를 꼽는 이들이 상당수였다.
10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한 ‘뉴스미디어 및 허위 정보에 대한 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 1000명에게 가짜뉴스를 접촉하는 경로를 물은 결과 온라인 동영상을 통해 접한다는 응답(평균 3.93점)이 가장 많았다. 이어 팟캐스트 등 개인 방송(3.81점),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3.74점), 블로그와 인터넷 카페(3.72점), 카카오톡 등 메신저(3.65점)가 뒤를 이었다.
허위 정보를 접하는 경로는 유튜브가 70%로 가장 많았고, 팟캐스트 등 개인 방송(65.8%), 블로그와 인터넷 카페(62.9%), SNS(62%)도 비율이 높았다. 보수 성향 종이신문이 경로라는 응답은 40.7%, 진보 성향 종이신문은 31.4%, 지상파 방송은 30.2%에 그쳤다.
보고서는 “뉴스 이용자들이 가짜뉴스라고 생각하는 정보를 전통적인 뉴스 매체가 아니라 비전문적인 뉴스 생산 주체나 비전문가, 정보 공급의 출처가 명확하지 않은 유튜브, 메신저, SNS를 통해 주로 접한다고 인식함을 드러낸다”고 분석했다.
허위라고 인식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는 동기는 “흥미나 눈길을 끌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지인에게 해당 내용을 알리려고’(3.44점), ‘정보가 유익할 것 같아서’(3.27점), ‘흥미로운 정보여서’(3.27점), ‘주목을 끌기 위해’(3.10점) 순이었다. 이에 비해 ‘정확한 정보여서’라는 답은 2.55점에 불과했다.
또 정치인이나 유명인이 특정 정보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비난하는 발언에 수용자들이 많이 노출될수록 뉴스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고, 뉴스 품질이 낮다고 인식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특정 뉴스 혹은 정보가 진실인지 허위인지 관계없이 정치인과 유명인들이 가짜뉴스라고 비난하는 발언은 수용자의 뉴스 미디어 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허위정보나 가짜뉴스 문제의 책임이 어디에 있다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부정확한 정보를 자신의 SNS에 올리는 정치인 등 유명인의 책임이 크다’가 평균 3.96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