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
서울역광장 임시 선별검사소 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14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길게 늘어선 시민들이 검사를 기다리고 있다. 2020.12.14.
연합뉴스
연합뉴스
15일 박유미 서울시 방역통제관은 온라인 브리핑에서 “14일 기준 수도권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은 76.7%이고, 서울시는 84.1%다. 서울시 중증환자 전담치료병상은 총 77개이고, 사용 중인 병상은 75개로 입원 가능 병상은 2개”라고 밝혔다.
이날 서울시는 상급종합병원 2곳에 중증환자 전담 치료 병상 3개를 추가로 확보했다. 시는 코로나19 중증환자 전담 치료 병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회복기 전담 병원’을 새로 지정하고 이날부터 운영한다.
‘회복기 전담 병원’은 코로나19 중증환자들이 치료를 받은 이후 상태가 호전돼 인공호흡기를 떼고 검사 결과도 음성으로 전환됐지만 기저질환으로 추가 치료가 필요한 경우 옮기게 되는 곳이다.
시는 서울백병원과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을 회복기 전담 병원으로 지정했으며, 40병상까지 확보해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이날 시립병원에서 57개 병상을 추가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날 기준 수도권 감염병 전담 병원 병상 가동률은 76.7%이고 서울시는 84.1%다.
박 통제관은 또한 확진 판정을 받고도 무증상·경증 환자들을 위한 생활치료센터에 들어가지 못한 채 이틀 이상 대기 중인 확진자가 11명이라고 밝혔다.
서울시 생활치료센터는 9곳 1929개 병상이 운영되고 있으며, 사용 중인 병상은 1215개이고 즉시 사용 가능한 병상은 302개다. 나머지는 퇴원·입원 등에 따른 청소와 준비 등으로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상태다.
박 통제관은 생활치료센터 입소 지연에 대해 “자치구 생활치료센터 개소 준비에 따라 지난 금요일부터 무증상 확진자들의 입소가 다소 지연됐으며 현재 이틀 이상 대기자는 11명 정도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자치구 생활치료센터 입소 대기가 이틀 이상 지나면 보통 시가 운영하는 생활치료센터에 이송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